아마엘 볼체 난징대 교수, “수개월 내 꼬리치레도롱뇽 학술지 보고되면 신종 인정받을 것… 양산시 선제 보호대책 수립해야”
김합수 경남양서류보존회 활동가. “임시서식처 31곳 중 제기능 하는 곳은 몇 곳에 불과”
홍석환 부산대 교수, “간단한 서식처 개선만으로 해결 가능… 양산시, LH의 의지가 중요”

윤미향 국회의원(비례)은 사송고리도롱뇽서식처보존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 양산시의회 기후위기연구모임, 부산대학교 담수생태학 연구실과 함께 지난 5월 10일 오후 양산 YMCA에서 “위기에 처한 양산 도롱뇽”토론회를 개최했다.(사진=윤미향 의원실)
윤미향 국회의원(비례)은 사송고리도롱뇽서식처보존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 양산시의회 기후위기연구모임, 부산대학교 담수생태학 연구실과 함께 지난 5월 10일 오후 양산 YMCA에서 “위기에 처한 양산 도롱뇽”토론회를 개최했다.(사진=윤미향 의원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윤미향 국회의원(비례)은 사송고리도롱뇽서식처보존시민대책위원회(이하 시민대책위), 양산시의회 기후위기연구모임, 부산대학교 담수생태학 연구실과 함께 지난 5월 10일 오후 양산 YMCA에서 “위기에 처한 양산 도롱뇽”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양산에는 고리도롱뇽, 신종후보 도롱뇽, 얼룩새코미꾸리를 포함한 다양한 멸종위기종이 서식하고 있다. 특히 고리도롱뇽은 전 세계에서 경상남도 일부 지역에만 서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한국토지주택공사(LH)의 사송 공공주택지구도 고리도롱뇽의 서식처에 속한다. 

LH는 사송 공공주택지구 공사현장에서 2021년에 약 8천 마리 고리도롱뇽의 성체와 유생을 구조하고 많은 알들을 인근 하천으로 옮겼다. 이 과정에서 많은 도롱뇽이 폐사한 사실을 확인하기도 했다. 

윤미향 의원은 지난해 낙동강유역환경청 국정감사에서 LH의 고리도롱뇽 서식지 훼손 문제를 짚고 서식지 보전 방안 마련을 요구했다.

이에 LH는 올해 1월 임시산란터 31곳을 조성했다. 하지만 올 봄 임시산란터와 인근 지역을 모니터링한 시민대책위는 지난 해보다 서식 환경이 악화된 부분이 있다고 밝혔다. 

토론회에서는 이에 대해 멸종위기종의 서식처 보전에 대한 LH의 인식 부족, 서식처 조성에 대한 실질적인 허가권을 갖고 있는 양산시의 전담부서 부재가 불러온 환경 재앙이라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날 토론회는 아마엘 볼체(Amaël Borzée) 중국 난징대학교 교수의 ‘양산의 도롱뇽의 생태적 가치와 사송에 서식하는 신종 후보 도롱뇽’에 대한 특별강의에 이어 주제발표, 토론이 이어졌다. 

프랑스 출신의 양서류 전문가인 볼체 교수는 청개구리 연구를 시작으로 한국과 인연을 맺었으며, 지난 2018년 사송의 현장을 방문하기도 했다. 볼체 교수는 먼저 멸종위기 생물 중 도롱뇽의 비율이 매우 높음에도 관심을 받지 못한다는 사실을 언급했다. 

볼체 교수는“양서류 한 두 종이 사라지는 것으로 우리의 일상생활에 큰 변화는 없을 것이나, 모든 양서류가 멸종한다면 우리는 모기를 포함한 수많은 벌레들로부터 바로 생활에 직접 영향을 받을 것”이라며 “말라리아를 포함한 전염병이 창궐할 것이고, 병충해 역시 심각해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또한, 한국에 서식하는 도롱뇽들에 대한 간단한 소개 후, 양산의 고리도롱뇽과 꼬리치레도롱뇽류 신종 후보종에 대한 설명을 이어나갔다. 

그러면서 “수주 혹은 수개월 내로 양산에 서식하는 꼬리치레도롱뇽이 학술지에 보고되면, 신종으로 인정받을 것”이라는 소식을 전한 뒤 “그 이후 신종에 대한 보호대책이 외국에서 한국으로 전달될 가능성이 있으며, 이름이 있든, 있지 않든 보호가 중요하다는 사실에는 차이가 없기에 양산시는 선제적인 보호대책 수립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해 시민들이 정부와 관계 기관에 적극 호소해 달라”고 당부했다. 

마지막으로 사송지역의 경암재단의 수목원에는 꼬리치레도롱뇽류 신종후보종이 서식하고 있기 때문에 볼체 교수는“양서류의 보호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서식처의 보존”이라며 “남아있는 경암숲의 서식처 관리가 중요하다”고 밝혔다. 

첫 번째 주제발표에 나선 김합수 경남양서류보존회 활동가는 사송지역의 서식처와 임시산란터를 모니터링하며 고립된 개체 500마리와 알집 400덩이를 구조한 결과를 토대로 “31개의 임시서식처 중 제 기능을 발휘하는 임시서식처는 몇 곳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김합수 활동가는“수심이 깊고 경사가 급하며, 산란 후 서식처로 되돌아갈 수 있는 경로가 연결되지 않는 실수를 범해서 개체군이 매년 1/10로 줄어들 만큼 위협을 당하고 있다”며 “LH는 살아남은 무리의 생존을 돕고 장차 살아갈 서식지 조성에 나서야 한다”고 요구했다.

사공혜선 김해양산환경운동연합 사무국장은 “LH에서 ESG 경영을 겉으로만 표방할 뿐, 실질적인 내용은 없다”고 지적했다.

홍석환 부산대학교 교수는 “간단한 서식처 개선으로도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이 무시되고 존중되지 않았다”며 “양산시가 야생생물보호법에 따라 의지만 발휘한다면 얼마든지 서식처 보존이 가능하다”며 양산시와 LH의 멸종위기종 보호 의지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주기재 부산대학교 교수는 “지하수의 유출 문제로 남아있는 서식처가 크게 위협받고 있고, 인허가 주무부처인 양산시에 주무부서가 없어 멸종위기종 관리에 대한 일관된 방침이 없다”고 지적했다. 

한석용 경암교육문화재단 사무국장은 “공사 현장 절개사면에서 지하수 유출로 꼬리치레도롱뇽류의 서식처인 계곡이 건천화되어가고 있다. 고리도롱뇽이 산란을 한 웅덩이가 있는 경암재단 부지 일부를 LH가 도로 개설을 위해 강제수용 절차를 밟고 있다”고 상황을 전하면서 “자연이 살아 숨쉬는 경암숲과 그 계곡을 지키는 데 힘을 모아달라”고 호소했다.  

이어진 토론에 나선 임희자 경남시민환경연구소 정책실장, 최대현 부산환경회의 팀장, 강호열 시민대책위 대표는 “양산시가 적극성을 갖고 이 문제를 해결하지 않는다면, 사송 공공주택지구의 환경질 훼손에 대한 책임은 LH와 양산시가 같이 지게 될 것”이라고 한목소리를 냈다. 

그러면서 이들은 “이번 지방선거의 시장과 시의원 후보자들이 사송의 상황에 대해 진지한 관심을 기울일 것”을 촉구하는 한편, 양산시민들을 향해선 “양산이 가진 자연자원의 소중함을 깨달았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한편, 이번 토론회를 주최한 윤미향 국회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LH의 양산사송지구 아파트 개발공사로 인한 멸종위기종 고리도롱뇽의 서식지 훼손 문제를 제기하고 서식지 보전대책을 요구했다. 이후 LH가 지난 1월 임시서식지를 조성했지만 올봄 산란철에도 고리도롱뇽의 수난이 계속되고 있다”며 “위기에 처한 고리도롱뇽의 서식지를 보전하는 것은 무엇보다 시급하고 중요한 일이다. 낙동강유역환경청, LH, 양산시는 고리도롱뇽의 서식지 보전에 더 적극 힘을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윤 의원은 “고리도롱뇽이 살아야 사람이 살 수 있다”며 “기후위기, 생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국회에서 생물다양성 증진, 멸종위기종 보전 등의 정책을 살피고 대안을 만들어가면서 ‘양산의 도롱뇽’과 진정한 친구가 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지난 1월 8일 시민과 함께 사송 고리도롱뇽 서식지 가꾸기 행사 모습 (사진=윤미향 의원실)
지난 1월 8일 시민과 함께 사송 고리도롱뇽 서식지 가꾸기 행사 모습 (사진=윤미향 의원실)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