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호무역주의 정책..인플레 상승 우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방위 관세정책과 경기 불확실성으로 뉴욕증시가 혼조세를 보였다.

14일(현지시간 기준) 뉴욕증시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일 대비 0.37% 내린 4만4546.08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0.01% 내린 6114.63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0.41% 오른 2만26.77에 장을 마감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관세 향방과 인플레이션 흐름을 주시하며 몸을 사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상호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나 구체적인 내용과 발효 시점 공개는 추후로 미뤄 협상의 여지를 남겼다.

이날 미국 상무부가 발표한 1월 소매판매는 전월 대비 0.9% 급감한 7239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12월의 0.7% 증가(수정치)에서 큰 폭으로 하락한 수치이며, 시장 예상치(-0.4%)보다도 부진한 결과다. 소비자들은 여러 업종에서 지출을 줄였으며, 특히 전문점과 자동차 딜러 매출이 각각 4.6%, 3% 감소하며 큰 타격을 입었다.

빌 애덤스 코메리카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캘리포니아 대형 화재와 전국적인 한파로 인해 비필수 품목 소비가 위축됐다”면서 “이러한 환경이 1월 소매판매 감소에 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제임스 나이트리 ING 국제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소비 둔화가 신중한 소비 트렌드의 시작인지, 단순한 날씨 영향인지 확인하려면 2월 데이터를 기다려야 한다”고 말했다.

소매·외식업 지출은 미국 소비의 약 3분의 1을 차지하며, 미국 경제는 GDP의 약 70%가 소비 지출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소비 둔화는 경기 둔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우려가 커지고 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2022년 여름 40년 만의 최고치에서 상당히 둔화됐지만, 최근 몇 달 동안 물가 상승세가 다시 상승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이는 연방준비제도가 추가 금리 인하를 보류하는 핵심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더욱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트럼프 대통령은 “멕시코·캐나다산 제품에 대한 25% 관세 부과를 3월 1일부터 시행하겠다”고 공언한 상태다. 또한, 4월에는 추가 보복 관세 부과 가능성도 검토 중이다.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이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명확하게 판단하기 전까지 연준이 정책 방향을 결정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뉴욕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