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통신3사의 MWC25 부스 조감도. (왼쪽부터)LG유플러스, SK텔레콤, KT. 각 사 제공
국내 통신3사의 MWC25 부스 조감도. (왼쪽부터)LG유플러스, SK텔레콤, KT. 각 사 제공

세계 최대 모바일 전시회 'MWC 2025'가 다음달 3일(현지시간)부터 사흘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피라그란비아 전시장에서 개최되는 가운데 국내 통신3사가 일제히 AI(인공지능)를 주제로 참가한다.

글로벌 기업들이 대거 참여하는 만큼 국내에서도 김영섭 KT 사장과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홍범식 LG유플러스 사장 등 국내 통신3사 수장이 모두 현장을 찾는다. KT와 SK텔레콤, LG유플러스는 AI를 활용한 기술을 대거 선보일 예정이다.

LG유플러스는 처음으로 단독 전시관을 운영하며, 자체 개발한 AI·초정밀위치측위(RTK) 등 기술을 활용한 국내 파트너사의 디지털 전환(DX) 사례를 소개할 계획이다.

세부적으로는 LG유플러스와 협업 중인 엔씨소프트의 AI 전문 독립 법인인 'NC AI'를 지원하는 내용을 소개한다. 

LG유플러스는 NC AI가 오디오·그래픽·챗봇·기계번역 등 분야에서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에 대한 수요가 있는데 따라 자체 개발한 AI 솔루션과 AI데이터센터(AIDC) 등 AI 인프라를 조성해 사업을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양사는 향후 AIDC 기반 협력도 강화할 예정이다. LG유플러스가 에너지 효율성을 강화한 AIDC 설비와 고도화된 네트워크 환경을 제공해 NC의 AI 기반 차세대 게임 개발 및 서비스 품질 향상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도로 데이터 유통 기업인 휴데이터스와 협업 사례도 소개한다. LG유플러스는 휴데이터스와 RTK 솔루션 기반의 최신 도로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향후 휴데이터스는 LG유플러스의 RTK 기기를 부착한 한진의 물류 차량을 기반으로 영상정보를 수집하고, 도로변화정보 데이터를 휴데이터스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도메인에 제공하는 등 신사업을 확장한다는 계획이다.

SK텔레콤은 이번 MWC 전시관에서 범용 서버에 GPU(그래픽처리장치)를 포함한 다양한 칩셋을 적용해 통신과 AI 서비스를 모두 제공할 수 있게 하는 'AI 기지국(AI-RAN)' 기술을 시연할 예정이다.

본래 통신 기지국은 트래픽이 몰리는 경우를 고려해 평소에 여유 자원을 확보하는데, AI 기지국은 이러한 기지국의 여유 자원을 AI 추론 서비스 등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원을 배분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를 통해 AI 서비스 효율을 최대화할 수 있다는 게 SK텔레콤 설명이다.

SK텔레콤은 에지(Edge) AI 국사에 분산된 AI 인프라를 통합 관리해 이용자에게 AI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과 AI 기반 망 분석 기능으로 통신 품질을 높이는 사례도 소개할 계획이다.

이밖에 온디바이스 AI로 간단한 AI 작업을 처리해 AI 서비스에 필요한 서버의 부하를 줄여주는 'AI 라우팅' 기술과  전파 신호를 이용해 주변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차세대 이동통신 기술인 '통신·센싱 통합(ISAC)' 연구 현황도 공개할 예정이다. 

KT는 AICT(인공지능+정보통신기술)을 주제로 중소벤처기업과 함께 'KT 상생협력관'을 꾸린다. 

KT 상생협력관에 참가하는 기업은 ▲사이버텔브릿지 ▲코아소프트 ▲셀렉트스타 ▲파이온코퍼레이션 ▲베슬에이아이 ▲비전스페이스 ▲일만백만 ▲임팩티브AI ▲진인프라 ▲에이아이오투오 등 10곳이다.

KT는 자체 보유한 대내외 네트워킹을 기반으로 KT 협력기업이 투자 유치와 수출 성과 등을 달성할 수 있도록 MWC 현장에서 유럽 현지 벤처캐피탈(VC) 초청 투자상담회 등 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한다는 방침이다. 한국벤처투자, 세계이동통신사업자연합회(GSMA) 등과 함께 마련했다.

아울러 GSMA 공식 스폰서 피칭 세션을 통해 KT 협력기업들이 현지 투자자들 앞에서 투자설명회(IR)을 진행하는 것도 지원할 계획이다.

[스트레이트뉴스 함영원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