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 물질 정보 공개, 2차 오염 방지, 주민피해보상 등…사측과 시의 책임 있는 조치 필요”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사고 한 달, 공장 정상화에 앞서 시민 건강 보호와 환경 오염 방지 대책의 선행이 선행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시의회 최지현 의원(더불어민주당, 광산1)은 16일 열린 제332회 정례회 5분 발언에서 "공장 정상화에 앞서 주민 안전과 환경에 대한 책임 있는 조치가 우선되어야 한다"며 광주시와 금호타이어의 투명하고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최 의원은 “지난 6월 10일 기준, 피해 접수만 1만 2천여 건이 넘고, 현재도 두통, 호흡기 이상, 피부 트러블 등을 호소하는 신고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투명한 정보 공개, 건강 조사, 피해보상 등 근본적인 조치는 여전히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특히 그는 “금호타이어가 연간 약 4천9백 톤의 유해 화학 물질을 사용하는 사업장임에도, 이번 화재로 어떤 물질이 얼마나 소실되었는지, 대기나 토양 등 환경에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정보가 제대로 공개되지 않고 있다”며 "이 같은 불투명한 대응은 주민 불안을 더 키우는 결과를 낳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장마철을 앞두고 화재 현장에 남은 소각재와 잔재물 등이 토양과 하천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며 "단순 복구를 넘어 2차 오염 차단을 위한 선제적 조치가 시급하다"고 경고했다.
주민 피해보상 체계의 실효성 문제도 도마 위에 올랐다.
최 의원은 "피해 접수가 평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4시까지만 가능해 생업 중인 주민이나 정보 접근이 어려운 계층은 사실상 참여가 어렵다"며 "접수 시간 확대는 물론, 이동 약자를 위한 찾아가는 진료 지원과 장기 치료 대상자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 기상 조건을 반영한 영향권 설정 등 실질적인 보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최 의원은 "이번 화재는 법적으로 화학사고는 아니지만 전문가들은 준(準)화학사고로 평가하고 있다"며 "광주시는 사고 규명과 재발 방지는 물론, 건강·환경 피해 복구와 주민 신뢰 회복을 위한 책임 있는 대책 마련에 나서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