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사기 여파에 ‘비아파트 기피’ 심화… 공급도 급감
서울의 주택 매매 시장이 아파트 중심으로 극단적으로 재편되고 있다. 올해 들어 서울에서 거래된 주택 10채 중 7채가 아파트일 만큼, 아파트 거래 비중이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반면, 빌라·다가구 등 비아파트 주택 거래 비중은 사상 최저를 기록하며 ‘아파트 쏠림’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14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7월 13일까지 서울에서 매매가 신고된 주택은 총 6만3730건이다. 이 중 아파트는 4만5022건으로 전체의 70.6%를 차지했다. 실거래가 집계가 시작된 2006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연립·다세대(일명 ‘빌라’)는 1만6716건으로 26.2%, 단독·다가구는 1992건으로 3.1%에 그쳤다. 모두 역대 연간 최저 비중이다.
이 같은 현상은 최근 몇 년간의 흐름과는 전혀 다른 양상이다. 2021년과 2022년엔 임대차 2법과 빌라 신축 붐 영향으로 연립·다세대 거래 비중이 각각 53.3%, 64.7%로 치솟으며 아파트 거래량을 압도한 바 있다. 2022년에는 빌라 거래량(3만1881건)이 아파트 거래량(1만2799건)의 2.5배에 달했다.
하지만 전세사기 사건이 잇따라 터지면서 2023년부터 비아파트 거래 비중은 급격히 줄었다. 2024년엔 31.4%로 떨어졌고, 올해는 30% 선마저 무너졌다. 같은 기간 아파트 거래 비중은 2023년 58.1%, 2024년 64.9%에서 올해 70%를 돌파했다.
특히 아파트 거래가 집중되는 상황에서도 강남 3구와 용산구 전체가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며 규제가 적용됐음에도 아파트 매수세는 오히려 강화됐다. 금리 인하 기대와 가격 상승세가 맞물린 결과로 해석된다.
공급 측면에서도 비아파트 외면 현상이 두드러진다. 국토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5월 전국 비아파트 인허가 물량은 1만6311가구로, 2020년 동기간(5만1817가구) 대비 3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서울의 경우 같은 기간 비아파트 인허가는 2232가구로, 2020년(1만1757가구) 대비 19% 수준에 그쳤다.
전문가들은 시장의 편중이 심화될수록 매매뿐만 아니라 전셋값 부담도 커질 수 있다고 경고한다.
부동산R114 관계자는 “아파트 중심 수요 집중은 전체 주거 시장의 왜곡으로 이어지고 있다”며 “비아파트 시장에 세제 혜택 등을 도입해 수요를 분산시키되, 전세사기 방지를 위한 임차인 보호장치는 더욱 보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