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금투협, 자본시장 간담회 개최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금융당국과 자본시장 업계가 최근 미국의 관세 부과, 세제 개편안 등 대외 환경 변화 속에서 증시의 활로를 모색하고 나섰다.

7일 금융감독원과 금융투자협회는 오전 여의도 금투협 본사에서 자본시장 전문가 간담회를 공동 개최하고, 현장에서 체감되는 정책 불확실성과 향후 증시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했다.

이번 간담회는 최근 미국발 관세 정책과 세제 변화, 인플레이션 압력 등 복합적 리스크 요인에 대해 업계의 실질적 목소리를 듣기 위한 자리였다. 

참석한 전문가들은 “일부 불확실성은 다소 해소되고 있지만, 관세 여파로 인해 수출 중심 기업의 실적 저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우려를 나타냈다. 특히 미국의 고관세 정책이 철강, 자동차, 반도체 등 국내 핵심 산업에 미칠 파장을 지적하며, 기업 실적과 증시 전반에 부담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또한, 최근 미국의 인플레이션 압력이 다시 고조되며 국내 증시에도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다. 전문가들은 대외 충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정책적 안정 장치 마련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한편, 정부가 주도하고 있는 주주환원 확대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 반응이 주를 이뤘다. 특히 상법 개정을 통한 자사주 소각 촉진과 장기투자자에 대한 세제 혜택 확대 방안은 국내외 투자자들의 신뢰 회복에 기여하고 있다는 평가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투자자 친화적인 정책이 시장의 체질을 개선하고 있다”며, “정책의 일관성과 지속성을 통해 자금이 다시 주식시장으로 유입되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서재완 금융감독원 부원장보는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치에 근접하며 자본시장이 오랜 조정기를 벗어나고 있다”며 “부동산 중심의 자금 흐름이 자본시장으로 전환되는 계기를 놓치지 않고, 지속 성장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다지겠다”고 밝혔다.

서유석 금융투자협회 회장도 “증시가 살아나려면 자금이 혁신산업 등 생산적 부문으로 흘러야 한다”며 “모험자본 공급 확대를 위한 업계의 책임과 노력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과 금투협은 향후에도 현장과의 소통을 확대해 자본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정책 발굴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