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건설, 경호처에 신축 공사 조감도 전달
경호처가 공사 주도...특검, 경호차장 출금 조치
가덕신공항 수주 이후 급작스런 계약 파기도 의문
현대건설이 윤석열 정부 출범 초기 대통령 관저 공사를 맡아준 대가로 800억 원 규모의 영빈관 신축 공사 수주를 약속받은 정황이 구체화되고 있다.
19일 <한겨레>는 현대건설이 2022년 대통령경호처에 새 영빈관 조감도를 전달하고 기초 설계 작업까지 마쳤다고 단독 보도했다. 용산 대통령실 앞 부지에 지상 3~4층, 지하 3~4층 규모로 새 영빈관을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관저 내 스크린골프장 공사비 약 2억 원의 출처가 불분명한 가운데, 현대건설이 영빈관 수주를 대가로 비용을 떠안은 것이라면 뇌물공여 소지가 짙다는 분석이다.
기획재정부도 당시 '국유재산관리기금 2023년도 예산안'에 대통령실 주요 부속시설 신축 사업에 878억 6300만 원의 사업비를 포함시켰다. 하지만 지난해 총선 이후 더불어민주당이 압승하면서 국회 동의가 어려워져 사업 추진이 사실상 중단됐다.
김건희 특검(민중기 특검팀)은 이 과정에서 김용현 전 경호처장과 김종철 전 차장이 주도적으로 관여했다고 보고 있다. 특검은 지난 13일 관저 공사를 맡았던 21그램 등 업체들을 압수수색하며 강제 수사에 돌입한 상황이다. 김 전 차장은 최근 출국금지 조치됐다.
현대건설 측은 이 같은 의혹에 대해 "조감도를 경호처의 요청에 의해 제출한 사실은 맞다"면서도 설계에 착수했다는 보도에 대해서는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현대건설이 관저 공사 대가로 가덕도신공항 수주 특혜를 받았다는 의혹도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민주당 김정호 의원(경남 김해을)은 지난달 기자회견에서 "관저 리모델링 불법 공사 의혹에도 현대건설이 연루된 바 있다"며 "윤 대통령과 국토부의 입김이 작용해 현대건설이 수의계약을 따낸 정황이 포착된다"고 말한 바 있다.
또한 현대건설이 공항 수주를 6개월 만에 돌연 포기한 배경에도 의문이 따라온다. 민주당 최인호 전 의원(부산시당 특별위원장)도 7월 기자회견을 열고 "(현대건설이) 김건희 특검 수사를 피하기 위해 고의적으로 포기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민주당 부산·울산·경남 전·현직 국회의원들과 시도당 위원장들도 같은 달 김건희 특검 사무실을 찾아 "관저 리모델링 공사를 뇌물 형식으로 무상 시공하고, 그 대가로 가덕도신공항 사업을 특혜 수주한 정황이 명백하다"며 "단순한 계약 비리를 넘어선 권력형 부패 사건"이라고 지적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