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정신은 12·3 비상계엄 저지, K-민주주의 수호의 원동력"...교육과정 반영 법제화 필요성 강조

이정선 교육감이 27일 국회 교육위 문정복 의원을 만나 광주교육 현안을 공유하고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광주교육청
이정선 교육감이 27일 국회 교육위 문정복 의원을 만나 광주교육 현안을 공유하고 협조를 요청하고 있다. 광주교육청

이정선 광주교육감이 국회를 방문해 5·18민주화운동을 국가 교육과정에 반영을 하기 위한 법적 근거 마련 및 지역 교육현안 협조를 요청했다.

27일 광주시교육청에 따르면 이정선 교육감은 이날 국회 교육위원회 위원들과 지역 국회의원들을 차례로 만났다.

이 교육감은 국회 교육위 문정복, 김문수, 강경숙 의원을 잇따라 만나 △5·18민주화운동의 국가 교육과정 반영 법제화 △교원의 정치적 기본권 보장을 위한 법률 제정 △직업과정 특수학교 설립 지원 △광주교육공동체 마음건강 통합지원센터 건립 △광주 공립대안학교 설립 △광주교육청 청사 전환 배치 등 광주교육 주요 현안을 설명하고 적극적인 지원을 당부했다.

또 광주에 지역구를 둔 민형배·박균택·안도걸·정진욱·정준호 국회의원과 광주출신 이건태 의원 등과도 만나 광주교육 발전을 위해 힘을 보태줄 것을 제안했다.

특히 이 교육감은 이날 “5·18민주화운동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뿌리이자 교육적 가치가 크다. 12·3 비상계엄을 저지하고 K-민주주의를 지켜낼 수 있었던 것도 5·18 정신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5·18의 역사적 의미가 교육과정에 체계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국회의 법적 뒷받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교원의 근무시간 외 직무와 무관한 정치적 의사 표현은 민주사회의 기본권으로 보장돼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제화가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이 외에도 장애 학생을 위한 직업 과정 특수학교 설립 및 학생·교직원·학부모가 함께 이용할 수 있는 마음 건강 통합지원센터 건립 예산 지원, 광주교육청 청사 이전 및 전환 배치 등 주요 현안에 대한 관심과 협력을 부탁했다.

이 교육감은 “국회와 긴밀히 협력해 광주교육 주요 현안을 차근차근 해결해 나가겠다”며 “국민주권정부와 함께 학생 한 명, 한 명의 가능성을 키워내는 교육, 단 한 명의 아이도 포기하지 않는 교육이 실현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