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267곳 중 623곳이 권고치 넘어
한병도"부실채권 정리 속도 내야 신뢰 회복"
전국 새마을금고 2곳 중 1곳이 금융당국의 부실채권 비율 권고치를 초과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전북·부산·경기·대구 지역의 부실 지표가 전국 평균을 웃돌며 '경고등'이 켜졌다.
더불어민주당 한병도 의원(전북 익산시을)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전국 1267개 금고 중 623곳(49.2%)이 고정이하여신 비율 8%를 초과했다. 고정이하여신 비율은 전체 대출 중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채권이 차지하는 비율을 의미하며, 8%를 넘으면 건전성에 적신호가 켜진 것으로 간주된다.
권역별 부실채권 비율은 △전북 15.3% △부산 13.45% △경기 11.95% △대구 11.77%로, 모두 전국 평균 10.73%보다 높았다. 더 엄격한 감독 기준인 순고정이하여신비율 9%를 초과해 위험 등급으로 분류된 금고 비율도 △전북 54.2% △경기 44% △부산 40.9% △인천 31.4% 등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대구 금고들의 상황이 특히 심각했다. 부실비율 최고치는 대구 A금고가 46.68%를 기록했고, 연체율 최고치는 대구 B금고가 59.27%에 달했다. 전국 새마을금고의 연체액은 15조 2124억원 규모였으며, 경기(3조 8000억원), 서울(2조 8532억원), 대구(1조 2981억원) 순으로 많았다. 연체율 역시 전국 평균 8.37%를 웃돈 지역이 부산(10.32%), 대구(9.76%), 전북(9.66%), 경기(9.48%), 인천(8.79%)으로 나타났다.
한 의원은 "통합공시시스템 도입이 금고 정상화 첫 단추라면, 구조개선은 반드시 끼워야 할 두 번째 단추"라며 "정부·중앙회·개별 금고가 합심해 부실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야 예금자 신뢰를 되찾을 수 있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고리이자·나체사진 협박까지…불법사금융 범죄 3년 새 159% 급증
- 김선교 "농협 연체율 급등, 국감서 책임 물을 것"
- 임종득, 정보통신망법 개정안 발의…민간 연구개발 정부 지원
- 윤준병, 가맹·유통·대리점 불공정 막는 '거래침해 금지청구제 3법' 발의
- 정일영, '가짜뉴스 최대 5배 손해배상 규정' 입법 추진
- 5년간 상위 8개 식품기업 위반 113건...해썹 인증 무색
- 차규근, 종부세 토지 과세 강화 추진..."부동산 머니무브 촉진"
- 김승원 "개미투자자 보호 위해 주권관련사채 공모 의무화"
- 이훈기 "SKT, 위약금 면제 연장 거부는 대국민 선전포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