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민·황현선 등 지도부 총사퇴…"무거운 짐 넘겨 죄송"
조기 전당대회 앞두고 비대위 체제 전망…'조국 체제' 먹구름

조국혁신당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과 서왕진 원내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내 성 비위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의사를 밝힌 뒤 회의장에서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조국혁신당 김선민 당대표 권한대행과 서왕진 원내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당내 성 비위 사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사퇴의사를 밝힌 뒤 회의장에서 나가고 있다. 연합뉴스. 

조국혁신당 대변인 강미정 씨의 탈당과 함께 불거진 당내 성비위 미흡 대처 논란이 결국 당 지도부 총사퇴로 이어졌다.

7일 황현선 사무총장에 이어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도 자리에서 물러나면서 사실상 지도부가 붕괴됐다는 분석이다.

김 대행은 이날 오후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오늘 대표 권한대행직에서 물러남으로써 그 책임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대응 조직과 매뉴얼도 없는 상태에서 일이 일어났고, 우왕좌왕 시간을 지체했다"며 "관용 없는 처벌과 온전한 피해 회복을 위해 현 지도부는 물러난다"고 고개를 숙였다.

그러면서 "당에 무거운 짐을 넘겨 죄송하다"며 "현 상황을 수습해 국민과 당원 동지들의 마음을 다시 모으시리라 굳게 믿는다"고 차기 지도부에 당권을 일임했다.

이에 앞서 황 사무총장도 같은 날 기자회견을 통해 자리에서 물러났다. 황 사무총장은 "당의 기강을 바로잡지 못한 점 깊이 사과드린다"고 사퇴의 변을 밝혔다.

이규원 사무부총장도 나란히 사퇴했다. 이 부총장은 전날 종합편성채널 유튜브 시사 프로그램에 출연해 "성희롱은 범죄는 아니다"라고 말해 '2차 가해' 논란을 부채질했고, 곧바로 당 윤리위에 제소됐다. 

혁신당은 애초 11월 초 전당대회를 예정한 만큼,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이 점쳐진다. 시선은 전당대회를 통한 조 원장의 대표 취임 여부에 쏠린다.

그러나 성비위 사건의 불씨가 지도부 붕괴를 넘어 조 원장에 대한 책임론까지 제기되면서, 내년 지방선거에도 부정적 기류를 형성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