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미정 탈당 후속 대응...재발 방지 제도 마련
조국 "피해 회복 소홀 반성...강미정 위로 서둘렀어야 "
조국혁신당이 최근 불거진 당내 성비위 사건과 관련해 공식 사과 입장을 내놓고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강미정 대변인이 당의 대응 미흡을 지적하며 탈당을 선언한 지 하루 만에 나온 조치다.
김선민 대표 권한대행은 5일 오전 국회 당 회의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피해자 여러분들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 이번 사건으로 마음 다치셨을 국민과 당원 여러분께도 깊은 사과를 드린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온전한 피해 회복이 이루어질 때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며 "사건 처리 과정에 부족함이 있었음을 인정한다"며 "다시는 같은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강도 높은 쇄신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김 대행은 사건 처리 경과도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지난해 4월 전후 당에 성비위 2건과 직장 내 괴롭힘 사건 1건이 접수됐으며, 피해자 측 요구에 따라 외부기관에 조사를 의뢰했다고 강조했다.
김 대행은 "윤리위원회는 가해자와 친분 있는 위원들을 배제한 뒤 외부위원 중심으로 심의를 진행했다"며 "성비위 사건 가해자 2명 중 1명은 제명, 다른 1명은 당원권 정지 1년으로 중징계했다"고 밝혔다.
직장 내 괴롭힘 사건 역시 외부 노무법인 조사 결과를 수용해 가해자로 인정된 1인에게 감봉 징계를 내렸다고 설명했다. 김 대행은 "피해자 측 요구에 따라 인권 향상 및 성평등 문화혁신특별위원회를 발족해 권고안을 마련했고, 이행 TF를 꾸려 제도 개선을 추진했다"고 설명했다.
2차 가해 사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해서는 "공식적으로 접수된 2차 가해 사례는 직장 내 괴롭힘 사건에서만 있었고 인정되지 않았다"면서도 "비공식적인 발언이나 문화적 문제로 피해자분들이 상처받았을 수 있다. 성인지 감수성을 높이고 문화 개선에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특히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이 수감 시기 사건을 인지하고 지침을 내렸는지에 대한 질문에는 "사건이 접수된 시점은 4월이었고, 당시 조국 대표는 이미 대법 판결 확정으로 당적이 상실된 상태였다"며 "수감 중이던 조 전 대표가 당무에 관여하면 정당법 위반이며, 그러한 사실도 없다"고 일축했다.
앞서 강 대변인은 4일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당의 미온적 태도를 비판하며 탈당을 선언한 바 있다. 이에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은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큰 상처를 입으신 피해자분들께 깊은 위로를 전한다"며 "비당원 신분으로 공식 절차에 개입하는 것은 공당의 체계를 무너뜨린다고 판단해 개입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어 "피해 회복 과정에서 소홀한 부분은 없었는지 반성해야 한다"며 "저 역시 미진한 점이 없었는지 살펴보고, 관용 없는 처벌과 피해 회복의 제도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강 대변인 탈당과 관련해서는 "고통받은 강 대변인을 만나 위로하겠다고 약속했지만 제가 더 서둘렀어야 했다"며 아쉬움을 표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