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춘생, 경찰청 자료 분석...올해 8월까지 248건 발생
아파트·골목길·학교 주변에서 빈번…'예방·일벌백계 시급"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 의원 페이스북.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 의원 페이스북. 

최근 초등학교 인근에서 연이어 발생한 유괴 시도 사건으로 학부모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작년 한 해 미성년자 약취·유인 건수가 236건에 달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하루 반마다 한 건꼴로 발생한 셈으로, 사전 예방과 강력한 처벌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조국혁신당 정춘생 의원(정책위의장)이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미성년자 약취·유인 발생 건수는 △2020년 160건 △2021년 193건 △2022년 222건 △2023년 260건으로 매년 30~40건씩 증가해왔다. 2024년에는 236건으로 다소 줄었으나, 올해 8월까지 이미 248건이 발생해 다시 증가세가 확인됐다.

미수 사건도 빠르게 늘고 있다. △2020년 56건 △2021년 78건 △2022년 89건에서 △2023년 126건으로 급증했으며, 2024년에도 92건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2020년~2025년 8월까지 미성년자 약취·유인 발생 및 미수건수 현황. 자료 경찰청. 정춘생 의원실. 
2020년~2025년 8월까지 미성년자 약취·유인 발생 및 미수건수 현황. 자료 경찰청. 정춘생 의원실. 

지역별로는 경기 57건, 서울 46건, 인천 21건, 부산 18건 순으로 많았다. 발생 장소별로는 △아파트·단독주택 등 주거지에서 86건 △골목길·보도 등 통행로와 일반도로 53건 △기타 45건 △학교·유치원·어린이집 등 교육시설 16건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생들의 통학 동선과 일상 생활 공간에서 상당수가 발생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

정 의원은 '미성년자 약취·유인 사건은 미수에 그친다 할지라도 일단 발생하는 순간 피해자에게 돌이킬 수 없는 상처와 후유증을 남기는 범죄인만큼 예방대책이 중요하다"며 "'‘통학로'와 같이 유의미한 발생장소 통계분류가 이루어져야 하며 발생빈도가 높은 장소들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통해 보다 더 촘촘한 대책을 세우고, 발생범죄에 대해서는 일벌백계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