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서 '북극항로와 자원안보' 세미나 개최…정책·산업계 머리 맞대
이언주 "북극항로는 새로운 생존 전략…한국 자원안보와 직결"

 '북극항로가 우리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 15일 국회의원회관. 이언주 의원실 제공. 
'북극항로가 우리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 15일 국회의원회관. 이언주 의원실 제공. 

북극항로의 전략적 가치와 한국의 대응 과제를 논의하기 위한 '북극항로가 우리 자원안보에 미치는 영향' 세미나가 15일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렸다. 

이번 세미나는 이언주 더불어민주당 의원(미래경제성장전략위원장, AI 강국위원회 AX 분과장)과 문대림 의원이 공동주최하고 에너지경제신문사·한국석유공사·지질자원연구원·한국해양진흥공사가 공동주관했으며 해양수산부가 후원했다.

이 의원은 환영사에서 "북극해의 변화는 단지 기후의 문제가 아니라 글로벌 해상 네트워크와 에너지·광물 공급지도의 재편을 의미한다"며 "북극항로는 단순히 물류 경로가 아니라, 기후변화와 지정학적 전환에 대비하는 새로운 생존 전략"이라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에서 유럽으로 가는 전통 항로는 남중국해·수에즈운하를 거쳐 약 2만 km인데, 북극항로를 활용하면 북태평양과 러시아 북부 연안을 따라 약 1만 5000 km로 항해 거리를 줄일 수 있다"며 "이 5000 km의 차이는 한국 경제에 시간과 비용, 그리고 위험의 절감이라는 매우 구체적인 이익으로 돌아온다"고 설명했다. 

또한 "동북아의 관문에 선 우리에게 북극항로의 활용은 단순히 '새로운 길'이 아니라, EU나 미국 알래스카주와 교역을 확대하는 발판이자 중계무역과 에너지 허브로의 도약, 그리고 새로운 성장동력의 플랫폼"이라고 강조했다.

세미나에서는 학계와 전문가들의 발제와 토론도 이어졌다. 이광재 전 국회사무총장은 좌장으로서 '광개토대왕의 꿈과 장보고의 꿈을 이루는 북극항로 - 섬나라의 운명을 끝내다'라는 주제 발표를 통해 북극항로가 가져올 경제적 기회와 효과를 소개했다. 

이 전 총장은 한국이 아시아 허브 넘버원 국가로 도약하기 위해 △해양수산부 이전 등을 통한 해양수도 건설 △싱가포르 PSA 모델을 본뜬 세계적 항만·투자·운영회사 육성 △부산을 세계적 국제도시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

임은정 공주대 국제학부 교수는 '북극항로가 에너지 산업에 주는 영향과 한국의 준비'라는 주제 발표에서 "북극은 미·중·러 패권 경쟁의 새로운 전장이 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한국의 대응 방향으로 △러시아와 경제 협력은 유지하되 안보 분야에서는 미국·유사 입장국과 연대하는 실용적 접근 △북극 관련 국제 규범·협력 선도 △북극항로와의 연계를 통한 남동부권 에너지 허브 도약 △알래스카 LNG 검토 등을 제시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