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해결, 북핵 동결" 강조...다자외교 카드
무리한 요구 수용 불가...통화스와프 요구
김정은 "비핵화 없다" 속 트럼프와 대화 여지
유엔총회 참석을 앞둔 이재명 대통령이 "관세는 조속히 해결하겠다"면서도 "북핵 동결을 임시적·현실적 대안으로 수용할 수 있다"고 밝혔다.
내일(23일) 예정된 유엔총회 기조연설과 다음 달 경주 APEC 정상회의를 앞두고 한미동맹과 한반도 문제를 아우르는 외교 메시지를 담은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22일(한국시간) 로이터와 BBC와 연달아 가진 인터뷰에서 "한미 간 관세 문제를 가능한 조속히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미국 측 요구대로 3천500억 달러를 전액 현금으로 투자할 경우 "한국은 1997년 금융위기와 같은 상황에 직면할 것"이라며 '통화스와프' 없는 협상 구조에 우려를 드러냈다.
미국 내 한국인 구금 사태와 관련해서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판단이 아닌) 과도한 사법당국의 판단일 것"이라고 말했다.
덧붙여 "굳건한 한미동맹을 해치지 않을 것"이라는 발언과 함께 방위비 증액 의지를 분명히 하며, 한미 간 안보 현안에선 미국과 큰 이견이 없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만약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동결 합의'에 나선다면 "이를 수용할 수 있다"고도 밝혔다.
반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비핵화는 절대로 없다"면서도 트럼프 대통령과의 대화 여지를 남겨 APEC에서의 북미 정상 회동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지난 21일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좋은 추억이 있다"며 "미국이 허황한 비핵화 집념을 버리면 마주 앉을 수 있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부터 3박 5일간 뉴욕에 머물며 유엔총회 기조연설, 안보리 공개토의 주재, 다자·양자 정상회담을 소화한다. 경주 APEC을 앞두고 "민주 한국"의 복귀를 선언하고 한반도 정책 방향을 국제사회에 천명한다는 구상이다.
특히 경주 APEC은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의 회담이 예정돼 있어 세계의 이목이 집중되는 무대가 될 전망이다. 김정은 위원장과의 회담 성사 여부도 초미의 관심사가 될 것으로 보인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석방 근로자 316명 무사 귀국, 8일 만에 가족 품으로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이재명, 트럼프 상대 국익·실용외교 구현 '긍정적 51.1% vs 부정적 46.6%'
- '실용 외교' 뽐낸 이 대통령, 안보현안은 여전한 숙제
- [한미정상회담] "피스·페이스 메이커"…'북미 대화' 불씨 살렸다.
- 양기대 "원산갈마해안관광지구, 북미·남북 대화의 촉매제 기대"
- 이 대통령이 쏘아올린 'END' 구상, APEC 과제로
- 이 대통령 'END 이니셔티브'에 여야 정반대 해석
- "3500억 달러 대미투자 철회해야"...민주 일각·진보야당 65명 결의안 서명
- 뉴욕서 평행선, 경주서 결론?…한미 협상 APEC서 '빅딜'?
- 대통령실 조직개편...'2대변인' 체제, 정무·홍보 라인 재정비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김정은 APEC 초청 '한반도 평화, 도움 45.9% vs 비도움 50.1%'
- 불법계엄 오욕 軍에 준엄한 경고..."국민에 총 겨누는 일 없어야"
- 양기대 "남북·동아시아 고속철도에 AI 접목, 디지털 실크로드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