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 통관·결제 시스템·STO 펀드 등 구체 모델 제시
정부 차원의 디지털 TF 설치·국제 표준 선도 제안

양기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 광명시장)이 2일 경기도 의왕 한국교통대에서 열린 추계학술세미나 'AI·블록체인·디지털 자산이 남북 및 동아시아 고속철도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대응'에서 발언하고 있다. 양 전 의원 제공.
양기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 광명시장)이 2일 경기도 의왕 한국교통대에서 열린 추계학술세미나 'AI·블록체인·디지털 자산이 남북 및 동아시아 고속철도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대응'에서 발언하고 있다. 양 전 의원 제공.

양기대 전 더불어민주당 의원(전 광명시장)이 인공지능(AI)과 블록체인, 디지털 자산을 남북 및 동아시아 고속철도 구상과 결합해 '21세기판 디지털 실크로드'로 확장하는 구상을 제기했다.

양 전 의원은 2일 경기도 의왕 한국교통대에서 열린 추계학술세미나 'AI·블록체인·디지털 자산이 남북 및 동아시아 고속철도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대응'에서 이같이 제안했다. 

이번 세미나는 한국교통대 유라시아 교통연구소와 (사)ETX포럼이 주최했다. 

주제 발표를 맡은 양 전 의원은 "AI는 철도 운영의 두뇌 역할을 할 것"이라며, 빅데이터 기반 수요 예측, 예측정비, 실시간 운행 스케줄 최적화 등을 통해 비용 절감과 안전성 향상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기술을 접목하면 고속철도는 단순한 교통수단이 아니라 경제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보장하는 미래형 융합교통시스템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전 의원에 따르면 남북과 중국, 러시아, 유럽으로 이어지는 국제철도망에서 블록체인을 활용하면 △디지털 원패스 통관·결제 시스템 △스마트 계약 기반 공공조달의 투명화 △국제 운임·화물료의 실시간 정산이 가능하다.

양 전 의원은 또한 STO(증권형 토큰)를 활용한 '유라시아 철도펀드'를 조성해 국민과 글로벌 투자자가 함께 철도를 소유하고 수익을 공유하는 새로운 모델도 제시했다.

디지털 자산이 가격 변동성과 규제 리스크로 인해 직접 결제수단으로는 한계가 있는 점에 대해선, 'CBDC(중앙은행 디지털화폐)와 규제형 스테이블코인을 철도 투자·정산에 활용'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양 전 의원은 아울러 정부와 정치권의 선제적 역할도 주문했다. 구체적 과제로 △국토교통부·기재부·산업부·금융위·한국은행 등이 참여하는 '남북·동아시아 철도 디지털 TF' 설치 △국제 기술 표준 선도 △스마트 시티 및 디지털 자유무역지대 조성 등을 열거했다.

덧붙여 "유라시아 고속철도 노선은 단순한 철길이 아니라 '유라시아 철도 디지털 경제 대동맥'으로 확장될 수 있다"며 "국가 미래 전략 차원에서 KTX광명역에서 출발하는 유라시아 철도의 미래를 새롭게 열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2일 경기도 의왕 한국교통대에서 열린 'AI·블록체인·디지털 자산이 남북 및 동아시아 고속철도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대응'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기대 전 국회의원 제공.
2일 경기도 의왕 한국교통대에서 열린 'AI·블록체인·디지털 자산이 남북 및 동아시아 고속철도 시대에 미치는 영향과 우리의 대응' 세미나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양기대 전 국회의원 제공.

이어진 토론에는 오재학 전 한국교통연구원장, 나희승 전 코레일 사장, 진장원 교통대 교수, 서종원 교통연구원 민자사업단장, 박정준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김원응 전 코레인 해외사업본부장 등이 참여했다.

서종원 교통연구원 민자사업단장은 "한국, 북한, 중국, 러시아, 몽골, 일본, 미국 등이 참여하는 동북아 교통인프라 공동체를 추진해야 한다"며 양 의원 제안에 힘을 보탰다.

그러면서 "교통물류와 복합운송을 활성화하고, 에너지 및 경제 공동체로 확장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