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자 2만8천여 명 구직급여 신청...신청자 70%가 30대 이하
황정아 "윤석열 정부 예산 폭거, 현장 연구자 생계 위협"
지난 정부의 연구개발(R&D) 예산 삭감이 연구자들의 일자리 감소로 이어지면서 실직자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 세대 청년 연구자들의 피해가 두드러졌다.
22일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의원(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자연·생명과학 연구직과 정보통신 연구개발직 및 공학기술직의 구직급여 신청자는 총 2만8092명으로 전년 대비 30.6% 증가했다. 자연·생명과학 연구직은 6331명으로 25.6% 늘었고, 정보통신 및 공학기술직은 2만1761명으로 32.2% 증가했다.
연령별로는 30대 이하 청년 연구자들의 피해가 집중됐다. 지난해 자연·생명과학 분야 구직급여 신청자의 73%(4662명), 정보통신 분야의 70%(1만5283명)가 30대 이하로 집계됐다.
올해 들어 R&D 예산이 30조 원 수준으로 회복되며 실직자 증가세는 다소 완화됐지만, 여전히 추세 반전에는 이르지 못했다. 올해 1~7월 자연·생명과학 분야 구직급여 신청자는 3955명으로, 연간 환산 시 6780명에 달할 전망이다. 전년 대비 증가율은 7%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증가세다.
국가 R&D 예산은 2023년 31조1000억 원에서 지난해 26조5000억 원으로 약 15% 삭감됐으며, 대학 연구실을 중심으로 그 충격이 올해까지 이어졌다는 평가다.
다만 새 정부가 내년도 R&D 예산을 역대 최대치인 35조3000억 원으로 책정하면서, 연구자 일자리 상황이 개선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기초연구 부문은 올해보다 17.2% 늘어난 2조7400억 원이 배정됐다.
황정아 의원은 "근거 없던 윤석열 대통령의 R&D 예산 폭거가 현장 연구자들의 일자리와 생계를 직접적으로 위협했다"며 "과학기술 패권 시대의 핵심 동력인 이들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진상조사가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 충분한 재정적 뒷받침과 안정적인 연구 환경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건설현장 임금체불 4천780억 '사상 최대'…외국인 노동자 체불도 급증
- 산인공 직원이 직접 수험 참고서 집필·판매..."이해충돌"
- LH 임대아파트 불법 전대·숙박 적발 잇따라…최근 5년간 44건
- KT 소액결재 피해지역 더 있었다…서초·동작·일산까지
- 최근 5년간 10대 건설사 사고 사망자 113명…올해만 16명 숨져
- 개인정보 유출 폭증, 과징금은 건당 1천원 불과
- LH 공공주택 하자보수 소송 패소로 배상액 눈덩이...5년간 2629억원
- 이인선 "대구 수성 1·4가 초등학교 통학구역 조정안 심의 통과"
- 가스 공공기관 3사, 성희롱·폭행에도 '솜방망이'…성과급까지 지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