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보다 원리금 상환 많아…266만명 소득 70% 이상 빚 갚는데 사용
최기상 "비은행권 연체율 급등, 금융당국 대응 필요"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의원. 페이스북. 
더불어민주당 최기상 의원. 페이스북. 

올해 1분기 국내 가계대출자의 빚 상환 부담이 심각한 수준에 이른 것으로 나타났다. 약 149만 명은 연 소득 전액을 원리금 상환에 쓰고 있으며, 가계대출 연체율도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해 금융당국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은행이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최기상 더불어민주당 의원에게 제출한 ‘가계 대출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5년 1분기 말 기준 국내 가계대출 차주 수는 1,971만 명, 총 대출 잔액은 1,888조 1,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차주 수는 2만 명 줄었지만, 대출 잔액은 35조 3,000억 원 늘었다. 1인당 평균 대출액도 9,581만 원으로 지난해보다 192만 원 증가했다.

전체 가계대출자의 평균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은 37.5%로, 연 소득의 3분의 1 이상을 빚 상환에 쓰는 셈이다. 특히 DSR 70% 이상인 차주는 266만 명(13.5%)에 달했으며, 이 중 149만 명(7.6%)은 소득의 100% 이상을 원리금 상환에 지출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다중채무자(3곳 이상 금융기관 대출 이용자)는 459만 명으로 1년 새 8만 명 늘었고, 이들 가운데 25.1%가 DSR 70% 이상을 기록했다. 저소득·저신용으로 분류되는 취약차주도 137만 명으로 전년 대비 11만 명 증가했으며, 이 중 35%(48만 명)가 DSR 70% 이상을 기록해 심각한 상환 압박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2025년 1분기 가계대출 연체율은 은행 0.41%, 비은행 2.38%로 집계됐다. 전년 대비 각각 0.04%p, 0.23%p 상승한 수치이며, 2018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한국은행은 “은행권 연체율이 완만히 증가한 반면, 취약차주 비중이 높은 비은행 금융기관은 큰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고 분석했다.

최기상 의원은 “소득 또는 신용이 낮은 취약차주의 약 3분의 1이 감당하기 어려운 대출로 생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며 “특히 은행권·비은행권의 연체율이 2018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한 점은 매우 우려스럽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이재명 정부는 서민금융안정기금 신설 등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지만, 금융당국은 맞춤형 채무조정제도 등 보다 실효성 있는 금융안전망 대책을 서둘러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