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개 부처 모두 불참한 회의도 5차례
19번 회의 중 농식품부는 단 1번 참석
박희승 의원 "위원회 구성 전면 재검토해야"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 의원실. 

윤석열 정부 시절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회의에 당연직 위원으로 참여하는 5개 부처의 출석률이 30%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농림축산식품부는 총 19차례 회의 중 단 1번만 참석했으며, 두 명의 민간 위촉직 위원 자리는 2년 가까이 공석으로 방치돼 제도 운영의 공백과 무책임이 도마 위에 올랐다.

더불어민주당 박희승 의원(남원·장수·임실·순창)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윤석열 정부 시기 총 19번 열린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회의에서 위원장 및 당연직 위원인 5개 부처 장·차관의 출석률은 28.4%에 불과했다. 이는 위원 전체 평균 출석률 66.6%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

부처별로 보면, 농림축산식품부는 19차례 중 단 1번만 참석했으며, 산업통상자원부는 3번, 고용노동부는 4번 회의에 참석했다. 5개 부처 모두 불참한 회의도 5차례에 달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는 1,200조 원 규모의 국민연금을 운용하는 핵심 정책·계획을 결정하는 최고의사결정기구임에도, 당연직 위원들의 저조한 참여로 운영의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위원회는 위원장인 보건복지부 장관과 기획재정부 차관, 농림축산식품부 차관, 산업통상자원부 차관, 고용노동부 차관, 국민연금공단 이사장 등 5인의 당연직 위원과 14인의 민간 위촉직 위원 등 총 20인으로 구성된다. 대리 출석도 허용됨에도 부처들의 출석률이 저조했다는 점에서 제도적 문제뿐 아니라 정부의 운영 의지 부족이 지적된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5개 정부 부처 출석현황. 자료 보건복지부. 박희승 의원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5개 정부 부처 출석현황. 자료 보건복지부. 박희승 의원실. 

박희승 의원은 "대리출석도 허용하고 있는데 출석률이 30%도 채 안 된다는 것은 참석할 의지가 없었다는 것"이라며 "대표성이 있다고 보기도 어렵고, 참석도 잘 안하는 정부 부처가 당연직 위원을 계속 맡아야 하는지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비판했다.

또한 민간 위촉직 위원 2자리가 2년 동안 공석으로 남아 있었던 사실도 드러났다. 2023년 3월 민주노총 추천 몫 위원이 '품위 손상'을 이유로 해촉된 데 이어, 같은 해 5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몫 위원도 원장 임기가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임이 거부됐다. 이 두 자리는 윤석열 대통령 탄핵 이후인 2025년 4월에서야 새로운 위원이 임기를 시작했다.

박 의원은 "문재인 정부에서 임명된 보사연 원장과 '품위 손상'이라는 이해할 수 없는 이유로 해촉된 민주노총 몫 모두 윤석열 정부에 불편한 존재였을 것"이라며 "1,200조 국민연금을 운용하는 위원 자리를 정권 입맛에 따라 해촉하고 2년 동안이나 비워두는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