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급·초급 인력 순감·직종별 편차 심화
문진석 "건설시장 위축 통계로 확인, 정책 대응 시급"
건설현장에서 근무하는 근로자가 4년 사이 약 19만 명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급·초급 기능등급 인력이 큰 폭으로 감소하며 신규 진입이 줄어드는 '인력 절벽' 현상이 우려된다는 지적이 나온다. 향후 건설경기가 회복되더라도 인력 기반을 되살리는 데 상당한 정책적 노력이 필요하다는 분석이다.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의원(충남 천안시갑, 국토교통위원회)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11만4840명이었던 건설근로자 수는 2025년 6월 기준 92만5253명으로 4년 사이 18만9587명이 감소했다.
연도별 추이를 보면 2022년 12월 전년 대비 11만3,629명이 줄어 최근 4년 중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기록했고, 2024년에는 4만5074명, 2025년 6월에는 7만2411명이 각각 감소했다. 유일하게 증가세를 보인 해는 2023년으로, 전년 대비 4만1527명이 늘었다.
기능등급별로는 중급, 초급, 고급 순으로 순감해 신규 인력 유입이 급격히 줄고 있는 상황이다. 2021년 대비 2025년 6월 기준 중급등급 근로자는 10만3025명, 초급등급은 7만5301명, 고급등급은 4만2898명이 감소했다. 반면 특급등급 근로자는 3만1637명이 늘어 유일하게 순증을 보였다.
직종별 변화도 뚜렷했다. 형틀목공은 5만4692명이 줄어 7만4502명 수준으로 감소했고, 강구조 직종 역시 4만51명이 감소해 7만3556명이 근무 중이다. 반면 내선전기 직종은 6만5645명이 늘어 10만7111명으로 집계됐고, 안전관리 직종도 3만233명이 증가해 3만8791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문진석 의원은 "윤석열 정부 3년간 건설시장이 급격히 위축되면서 건설사는 물론 근로자들도 현장을 떠나며 건설산업에 위기가 닥쳐왔다"며 "차후 건설경기가 되살아나는 사이클이 도래하더라도, 근로자 만성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인 노력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