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안정화와 스마트 토지정보를 실현하고자 중점 전략(7개), 세부 추진과제(82개) 선정
부동산투기 예찰 및 근절대책과 도민에게 다양한 토지정보를 신속·정확하게 제공
경기도가 부동산 시장 안정화와 스마트 토지정보 제공을 위해 기획부동산 피해 신고센터 운영, 국가지점번호 표기실태 일제조사 등 올해 중점적으로 추진할 부동산·토지정보 분야 82개 세부 추진과제를 선정했다.
18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2022년 경기도 부동산·토지정보 분야 주요 시책안을 마련하고 지난 17일 31개 시‧군 토지정보과장 영상회의를 통해 공유했다.
이번 시책안은 ‘부동산 안정화 및 스마트 토지정보 실현’을 비전으로 7개 전략을 제시했다.
7개 전략별 주요 추진과제를 보면 우선 ‘공시가격의 공정가치 반영 및 균형발전’을 위해 공시가격제도가 시세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는 ‘불공정한 공시가격’ 현실화를 제고하고, 지역균형발전을 위해 개발사업 시 일정액(20~25%)의 개발이익을 환수하기로 했다.
이어 ‘공정하고 투명한 부동산 거래질서 확립’을 위해 공인중개사 명찰 패용 및 QR코드 부착, 부동산 실거래가 신고제도, 부동산 불법 중개행위 상시 지도·점검 등을 지속한다.
‘토지거래허가제 운영 및 기획부동산 등 불공정 행위 근절’ 전략의 추진과제로는 토지거래허가제도의 안정적 운영, 기획부동산 불공정 거래행위 근절 강화 등을 위한 기획부동산 불법행위(피해) 신고센터 운영 등을 추진한다.
‘공간정보 융·복합을 통한 스마트한 정책지원’ 전략에서는 경기부동산포털의 신규 콘텐츠 개발과 기능개선, 드론 영상 제공기관을 경기도에서 시‧군과 산하기관으로 확대, 드론 조종 경진대회 개최 등이 포함됐다.
이외 ▲미래지향적 업무추진 및 지적행정 선진화 ▲입체주소로 변화와 신기술 융합을 통한 도민 삶 개선 ▲지적재조사사업 활성화 및 안정적 사업추진 등의 전략별 추진과제도 정리됐다.
권경현 경기도 토지정보과장은 “전년도에 이어 올해도 부동산투기 예찰 및 근절대책을 펼치면서 다양한 토지정보를 도민에게 신속·정확히 제공하겠다”며 “도민 만족도를 한층 높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업무를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스트레이트뉴스 양용은 기자]
관련기사
- 경기도, 2022 매출채권보험료 지원사업 지난해보다 확대 지원
- 경기도주식회사, 2021년 전 사업 총 거래액 1,200억..전년 대비 513% 급증
- 경기도, ‘2022년 골목상권 상인회·연합회 매니저 지원사업’ 추진
- 경기도, ‘2022년 사회복지기금 장애인복지 지원사업’ 참여단체 공모
- 경기도, 골목상권 활성화 위해 올해 30억원 투입
- 오병권 권한대행, “미세먼지저감에 최선 다해달라”
- 롯데건설, 울산 강동 롯데리조트 기공식 개최…2025년 준공 목표
- 경기도민 75%, “설 연휴 기간 고향 방문 계획 없거나 취소했다”
- 경기도, 드론 영상 자체 촬영·제작…3년간 예산 40억 원 절감
- 경기도, 내달 4일까지 ‘2022년 전태일 열사 추모사업’ 수행 단체·기관 공모
- 경기도, 취득세 등 2021년도 도세 16조 7,987억 원 징수
- 경기도, ‘2021년도 연간 부동산 거래동향 및 현실화율 분석결과’ 공개
- 경기도, 21년 산업관광 실태조사 통한 참여업체(42개소) 선정..체험투어 시범운영
- 오병권 권한대행, 26일 화성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긴급방역 현장 점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