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8월 이후 유가·농산물 급등..기저효과 작용
한국은행이 9월 소비자가 상승률을 2.0% 내외로 전망했다.
26일 한국은행은 BOK ‘품목별 머신러닝 예측을 통한 단기 물가전망’을 발표했다. 한은의 상향식 머신러닝 모형에 따르면, 이번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대 초반까지 둔화된 것으로 보인다. 9월에는 2.0% 내외까지 추가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근원물가 상승률 또한 8~9월 중 2.0%대 초반에서 하향 안정화할 것으로 예측됐다.
주요 품목별 예측 결과에서는 농산물 가격이 양호한 기상 여건 덕분에 완만한 둔화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됐다. 석유류 가격 상승률도 최근 국제유가 하락을 반영해 둔화될 것으로 보인다.
근원 상품의 경우, 수요 압력이 낮아 1%대 후반의 가격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됐다. 집세는 전세가격 상승세가 반영되면서 낮은 수준에서 완만한 오름세를 나타낼 것으로 예상된다.
집세를 제외한 근원 서비스 물가는 2%대 중반에서 완만한 둔화 흐름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은행은 이러한 예측 배경으로 지난해 8월 이후 유가와 농산물 가격의 급등에 따른 기저효과를 주요 요인으로 꼽았다.
석유류는 8∼9월, 농·축·수산물은 10월에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해 소비자 물가의 하방 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분석됐다. 그러나 11월 이후에는 지난해 연말 유가 하락 등의 기저효과가 반대 방향으로 작용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다소 제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동재 한국은행 인천본부 인천업무팀 팀장보는 “지난해 8월 이후 유가·농산물 가격이 급등했다”며 “이에 따른 기저효과도 크게 작용했다”고 밝혔다.
품목별로 보면 석유류가 8∼9월, 농·축·수산물은 10월에 기저효과가 크게 작용하며 소비자 물가의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다만 11월 이후에는 지난해 연말 유가 하락 등이 반대 방향의 기저효과로 작용하면서 소비자물가 상승률 둔화세를 다소 제약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팀장보는 “앞으로 물가 흐름은 공급충격이 크게 발생하지 않는 한 목표 수준을 향해 안정적으로 수렴해갈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어 “지정학적 정세, 기상 여건, 공공요금 인상 시기·폭 등에 따라 농산물·석유류 등 비근원 품목의 월별 변동성이 커질 수 있다는 리스크는 남아있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