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부터 캐나다·멕시코·중국 관세 부과 시사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방침 발표로 인해 뉴욕증시가 하락세로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2월 1일부터 캐나다, 멕시코, 중국에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1월 31일(현지시간 기준)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75%(337.47포인트) 하락한 4만4544.66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0.50%(30.64포인트) 떨어진 6040.53, 나스닥종합지수는 0.28%(54.31포인트) 내린 1만9627.44에 장을 마감했다.
기술주 중에서는 엔비디아가 3.67% 하락한 반면, 테슬라는 1.08% 상승하는 등 종목별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12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시장 예상에 부합하는 수준이었으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부과 발표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쳤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월 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25%의 관세를, 중국산 제품에는 10%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 조치의 이유로 불법 이민과 펜타닐 등 마약 밀수를 막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는 대통령이 국민에게 한 약속을 이행하는 것”이라며, 관세 부과를 통해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그는 반도체, 의약품, 철강·알루미늄, 석유·가스 등 광범위한 품목에 대해서도 관세를 부과할 계획임을 언급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의약품, 모든 형태의 약물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철강, 반도체 칩 및 관련 제품에도 관세를 적용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로이터 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예고한 2월 1일이 아니라 3월 1일부터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공식적인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월가에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토요일부터 대대적인 관세를 즉각 시행할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를 시행하려면 국가 경제 비상사태를 선포한 뒤 ‘국제비상경제권법(IEEPA)’을 발동할 가능성이 크다. 해당 법은 대통령이 국가 비상사태 시 수입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인데 아직 이를 발동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크리스 크루거 TD 증권의 애널리스트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아직 IEEPA 법안을 발동하지 않았다”며 “토요일까지 관세를 시행하려면 시간이 촉박하다”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 내에서 더 큰 세금 부담을 야기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
칼 샤모타 코페이 크로스보더 솔루션스 수석 마켓애널리스트는 “트럼프가 제안한 관세정책으로 연간 2720억 달러의 추가 세금 부담이 발생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럼에도 일부 트럼프 지지자들은 이러한 위험이 감수할 가치가 있다고 주장한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건 체이스 대표는 지난주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관세가 약간의 인플레이션을 유발하더라도 국가 안보 문제를 해결하는 데 기여한다면, 사람들은 이를 수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