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 탓

한국은행 전경. 한국은행 제공.
한국은행 전경. 한국은행 제공.

3월 소비자심리지수가 석 달 만에 다시 하락 전환했다. 내수 부진과 수출 증가세 둔화 우려가 소비자 인식 악화로 이어진 것으로 분석된다.

25일 한국은행은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3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전월 대비 1.8포인트(p) 하락한 93.4를 기록했다. 1월(+3.0p), 2월(+4.0p) 두 달 연속 반등 흐름이 꺾인 것이다.

지난해 12월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급락(-12.5p) 이후 연초 반등세를 보였지만, 3월 지수는 지난해 11월(100.7)보다 낮은 수준이다.

CCSI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소비지출전망, 현재경기판단, 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바탕으로 산출된다. 지수가 100을 넘으면 장기 평균(2003∼2024년)보다 낙관적, 100 미만이면 비관적임을 의미한다.

6개 구성 지수 가운데 향후경기전망(70· 전월 대비 -3p), 소비지출전망(104·-2p), 생활형편전망(92·-1p), 가계수입전망(96·-1p) 등이 일제히 하락했다. 현재생활형편(87)과 현재경기판단(55)은 전월과 동일했다.

이혜영 한국은행 경제심리조사팀장은 “내수 회복 지연과 수출 증가세 둔화에 대한 우려, 낮아진 경제성장률 전망치가 영향을 미쳤다”며 “소비자들이 향후 경제에 대해 비관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반면 주택가격전망지수는 105로, 전월 대비 6p 상승하며 지난해 7월(+7p) 이후 가장 큰 상승 폭을 기록했다. 1년 뒤 집값이 오를 것이라고 기대하는 소비자 비중이 늘어난 셈이다.

이혜영 팀장은 “2월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이 심리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며 “향후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가계부채 관리 방안 등의 효과가 시차를 두고 나타날 수 있어 추이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금리수준전망지수는 92로 전월 대비 7p 하락하며 2024년 1월(-8p) 이후 가장 큰 낙폭을 보였다. 이는 기준금리 인하와 시중은행의 가산금리 조정 등 시장 금리 하락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3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월과 동일한 2.7%를 기록했다. 이번 조사는 이달 11일부터 18일까지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실시됐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