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아공·호주 정상과 연달아 만나 
트럼프 조기 귀국으로 회담 불발 전망
이시바·젤렌스키 회동은 성사 가능성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의 한 호텔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한·호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 참석한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의 한 호텔에서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한·호주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캐나다 캘거리에 도착한 이재명 대통령이 공식적인 정상 외교 행보를 시작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6일(현지 시간) 현지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밝힌 브리핑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시릴 라마포사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과 앤서니 앨버니지 호주 총리와 연달아 양자 회담을 가졌다.     

이 대통령은 라마포사 대통령과의 회담에서 한국전쟁 파병국인 남아공에 대한 감사의 뜻을 표했다. 그러면서 "교역, 투자, 에너지 등 제반 분야에서 양국 간 실질 협력이 지속 증진될 수 있도록 긴밀히 협조하자"고 제안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재명 정부의 출범을 축하하며 "한국과 남아공은 민주주의를 공유하는 소중한 파트너"라고 답했다. 그러면서 한국 기업의 투자와 진출 확대, 교육 및 기술훈련 분야에서의 협력을 희망했다. 

앨버니지 총리와의 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국방, 방산, 청정 에너지, 핵심 광물 등 공급망 분야 협력 지속적인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  

이 대통령은 "엄청나게 가까운 특별한 관계"라며 각별한 친밀감을 표했다. 덧붙여 "호주는 한국전쟁 당시 많은 인원을 파병하여 대한민국이 존속할 수 있게 됐다"고도 했다. 

앨버니지 총리는 오는 10월 예정된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경주' 정상회의 참석을 약속했다. 아울러 한반도 평화와 북핵 문제 해결을 위한 소통과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한 호텔의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이 16일(현지시간)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 한 호텔의 한국 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관심이 집중됐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회담은 무산될 것으로 보인다. 주요 외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이스라엘-이란 간 전면전 위기 등 중동 상황을 고려 조기 귀국을 결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귀국 즉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소집하고 대응책을 마련한다는 소식이다. 

다만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의 회담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은 올해 '한·일 수교 60주년'을 맞아 경제·안보 협력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과의 회동 가능성도 여전히 남아있다. 

한편 여야는 이 대통령의 첫 외교 행보에 기대감을 표출했다. 민주당 김병기 원내대표는 전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이번 G7 정상회의는 불확실한 국제 경제 상황 속에서 대한민국이 다시 선진 경제 강국의 지위 되찾고 경제 회복의 실마리를 찾는 좋은 기회 될 것”이라고 평했다.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도 이날 "국익을 극대화하는 외교적 성과를 진심으로 기대한다"며 "정상외교 흐름을 잘 읽고 뒤쳐지지 않도록 현명하게 대응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덧붙여  "국익에 여야, 진영, 계파는 없다"며 "국익을 위한 외교라면 국민의힘도 적극 협조할 것"이라고 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