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고군분투, 소통형 총리 되겠다" 인준 호소
국민의힘, 재산형성 의혹 등 집중공세 예상
민주 단독으로 임명동의안 처리 가능성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김민석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가 24일 오전 국회에서 개최됐다. 김 후보자는 내일(25일)까지 양일간 까다로운 검증 문턱을 넘어야 한다.
증인과 참고인 없이 진행된 이날 청문회에서는 김 후보자의 재산 형성 과정, 자녀 입시 특혜 의혹, 학력 논란 등을 두고 여야 의원간 날선 공방이 오갈 전망이다.
김 후보자는 모두발언에서 "새 총리와 장관이 임명되지도 않은 상황에서 대통령의 고군분투만으로 정부가 운영되고 있는 안타까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다"며 "국무총리는 국가의 정치와 행정을 이끄는 대통령님을 보좌하여 내각을 이끄는 대국민 참모장"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과거에 머무르지 않는 혁신형 총리, 의전에 갇히지 않는 실용적 총리, 책상에서만 일하지 않는 현장형 총리, 일방적 지시가 아닌 경청하는 소통형 총리가 되고자 힘쓰겠다"고 각오를 밝혔다.
김 후보자는 청문회 전부터 소득에 비해 지출이 많았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국민의힘 측에서는 김 후보자의 추징금 완납, 자녀 유학비 등을 충당한 자금 출처를 집요하게 따져 묻고 있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가 지난 5년간 약 5억 원을 벌었지만 13억 원을 지출했다며 6억 원의 출처가 불분명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김 후보자는 경조사 및 출판기념회 등을 통해 얻은 수입으로 충당했다고 해명했지만 국민의힘 의원들은 여전히 납득이 불가하다는 입장이다.
아들의 고등학교 시절 입법 추진 활동과 해외 대학 인턴 경력, 총선 직후 자녀의 예금이 증가한 것에 대한 출처 논란도 있다. 이른바 '아빠 찬스' 논란이다.
국민의힘은 아울러 김 후보자의 중국 체류 기간이 짧다는 점을 지적하며 칭화대 석사 학위 취득 과정에 대해서도 의문을 품고 있다. 논문에서 탈북자를 '반도자(叛逃者)'로 표현한 점도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은 김 후보자의 '10대 결격 사유'를 집중적으로 문제 삼으며 자진 사퇴 및 이재명 대통령의 지명 철회를 요구했다. 자료 제출 미비, 증인 채택 불발 등에 대한 비판도 곁들였다.
주진우 의원은 지난 23일 일명 '검은 봉투 법(정치자금법 개정안)을 발의했다. 개정안은 정치인 출판기념회에 대한 회계처리의 투명성을 강화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김 후보자의 출판기념회 수입 관련 의혹을 겨냥한 의도로 풀이된다.
서울중앙지검은 이종배 국민의힘 서울시의원의 고발에 따라 지난 20일 김 후보자의 뇌물수수, 정치자금법 위반, 조세포탈 등 혐의에 대한 고발 사건을 형사1부(부장 김승호)에 배당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같은 김 후보자에 대한 공세에 '묻지마 헐뜯기', '국정 발목잡기'로 규정하고, 총리 인준에 협조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 검찰이 수사에 착수한 것에 대해서도 '정치 검찰의 김민석 죽이기'라고 반발하고 있다.
국민의힘이 인사청문보고서 채택을 거부하더라도 이번 청문회 결과와 무관하게 민주당 단독으로 임명동의안을 처리할 가능성이 크다. 김 후보자는 본회의 표결에서 재적 의원 과반 출석에 마찬가지로 과반의 찬성표를 얻으면 인준이 확정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