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계 대체로 긍정적, 노란봉투법 등 현실화 요구 
농업계 "농민말살 주도 장관, 즉각 철회해야"
여권 내에서도 이견...진보당 '영혼 없는 공무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왼쪽),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연합뉴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왼쪽),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연합뉴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이재명 대통령의 지난 23일 장관 인선을 두고 뒷이야기가 무성하다. 시선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전 민주노총 위원장)와 유임이 결정된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에게 쏠린다. 

김 후보자 지명이 발표된 직후 노동계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노동자 출신인 그가 노동 현장을 잘 이해하고 있으며, 노동계의 숙원 과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서줄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분위기다.

민주노총은 당일 성명에서 "김영훈 후보자는 민주노총 위원장과 철도노조 위원장을 역임하며 한국 사회 노동현장의 현실과 과제를 잘 이해하고 있을 것이라 본다"고 환영의 뜻을 표했다.

그러면서 "두 차례나 거부됐던 노조법 2·3조 개정을 조속히 처리해, 헌법이 보장한 노동기본권을 실질적으로 보장해야 한다"며 "김영훈 후보자가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깊이 인식하고, 노동자의 권리를 보장하는 노동부 장관으로서의 소임을 충실히 이행할 것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경북 김천역에서 ITX-마음 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23일 경북 김천역에서 ITX-마음 열차를 운행하기 위해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한국노총 역시 "노동 시장 변화와 복합위기 상황에서 지속 가능한 노동 환경을 구축해야 하는 중차대한 임무를 맡은 만큼, 진영 논리나 경제 논리, 관료적 타성에 기대지 말고 노사정 간 사회적 대화와 합의를 통해 실질적인 진전을 이끌어 내기를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같은 분위기 속 김 후보자가 노동부 장관에 최종 임명될 경우 정부와 거리를 뒀던 노동계가 사회적 대화에 참여하는 등 노사정 관계에 훈풍이 불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 섞인 전망이 나온다. 

반면 송 장관 유임을 지켜보는 농민단체의 시각은 정반대다. 전국농민회총연맹(전농)은 "충격적인 소식"이라며 "도저히 납득할 수 없는 결정"이라고 반응했다. 

전농은 송 장관에 대해 "윤석열의 농업파괴 농민말살 정책을 주도한 '농망장관'이자, 12.3 내란사태를 방조한 '내란장관'이다"라고 거센 비난을 쏟았다. 

송 장관은 윤석열 정부 당시 '농수산물 유통 및 가격 안정법' 등에 대해 '농망법'이라고 비판하며 거부권 행사를 건의한 바 있다. 

진보성향 정당들도 탐탁치 않은 모습이다. 조국혁신당 박웅두 농어민위원회 위원장은 24일 논평에서 "송미령장관은 농업과 국민 먹거리안전을 위한 개혁 법안들을 줄줄이 무산시켰던 장본인"이라며 반대의 뜻을 분명히 했다. 

진보당 홍성규 수석대변인은 24일자 논평에서 "누가 봐도 명백한 '영혼 없는 공무원'에 '실용주의'란 딱지를 붙여가며 중용하겠다면, 이는 공무원 사회 전체에 대한 능멸이자 모독"라고 비판했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23일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이 대통령에게 송 장관 유임과 관련해 우려를 전달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대통령은 "진영이나 정파와 관계없이 탕평 인사"라는 입장이다. 

강훈식 대통령 비서실장은 송 장관 유임 결정 배경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농업 변화, 지방 소멸 등 농업·농촌 현안에 연속성 있게 대응할 적임자로 판단됐다"고 설명했다. 

당사자인 송 장관도 당황스런 태도다. 송 장관은 전날 국회에서 열린 농해수위 전체회의에서 "어려운 시기에 책임감이 어느 때보다도 무겁게 여겨진다"며 "분골쇄신하는 자세로 새 정부 농정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 대통령의 공약이었던 양곡관리법 개정을 새 정부 기조에 맞춰 재조율해야 한다. 또한 농어촌 고령화 문제 해소, 디지털 농정 개혁 등 주요 과제들을 해결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송 장관이 농민 단체들의 극렬한 반대를 극복하고 신뢰 회복에 성공할 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