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일 노조 국회 기자회견
"정규직은 8시간, 비정규직은 12시간"
"해고자 126명, 복직 판정에도 외면"
삼성전자 하청업체에서 대량 해고된 노동자들이 고용승계 박탈과 노동기본권 침해를 규탄하며 노동기본권 보장을 요구했다.
진보당 정혜경 국회의원과 민주노총 서비스일반노조 명일지회는 10일 국회 소통관에서 이같은 내용의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현장에는 정 의원을 비롯해 정민정 민주노총 서비스연맹 사무처장, 이재범 명일지회 지회장 등이 참석했다. 이들은 삼성전자 화성·기흥·온양 사업장에서 반도체 반제품 물류 운반 업무를 담당해 온 ㈜명일 소속 하청노동자들이다.
이들에 따르면 명일은 삼성전자와 33년간 하청계약을 유지하며 성장한 기업으로, 주주배당금 320억 원, 사내유보금 538억 원을 보유한 재무 안정성이 높은 업체다. 현재 약 850명의 하청노동자를 간접 고용하고 있다.
명일 소속 노동자들은 하루 12시간, 주야 맞교대로 근무하며 장시간 서서 반도체 자재를 운반하는 강도 높은 노동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나 도급계약이 1년 단위로 갱신되면서 산재 신청조차 제약을 받고 있으며, 저임금 구조 속에서 연장수당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현실에 처해 있다.
이들은 "대한민국 반도체 산업은 전체 수출의 20%6 이상을 치지하며. 지난 30어 년간 대표 수출 품목이자 국가 경제의 핵심 먹거리로 자리매김해 왔다"며 "그러나 그 영광 뒤에는 약 18만 명의 하청 비정규직 노동자들의 헌신이 있었다"고 말했다.
지난해 말 명일 사측은 계약만료와 경영상 축소를 이유로 노동자 126명을 해고했다. 이는 단체협약상 사전 협의 의무를 위반한 조치라는 게 노조의 주장이다.
명일지회는 이에 대해 경기지방노동위원회에 부당해고 구제신청을 제기했고, 노동위는 7명에 대해 근로계약 갱신 기대권을 인정했다. 그러나 회사 측은 판정을 이행하지 않고 있다.
노조는 특히 해고자들의 자리가 그대로 유지된 채 하청업체만 교체된 점을 설명하며 "명백한 고용승계 거부"라고 주장했다. 또한 "해고자들은 '명일 출신'이라는 이유로 업계 내 블랙리스트에 오르며 재취업조차 어려운 상황에 처해 있다"고 호소했다.
사측의 노조 탄압에 대한 고발도 이어졌다. 노조 "조합 간부를 표적으로 삼아 배치 전환과 징계해고를 자행하고, 복직한 간부에 대해서도 계약 갱신을 거부해 2차 해고를 감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삼성전자 정규직은 8시간 근무를 기본으로 하지만, 하청노동자는 하루 12시간 근무에 과도한 걷는 노동을 강요받고 있다"며 "이는 노동자들을 인간이 아닌 기계로 취급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이재범 지회장은 "막대한 세수지원을 담은 반도체 특별법이 국회 본회의 통과를 앞두고 있지만, 정작 하청노동자들의 권익은 단 한 줄도 담겨 있지 않다"며 "우리의 요구는 정당한 고용안정과 공정한 처우, 과도한 걷는 노동에 대한 개선”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노조는 지난 5월부터 삼성전자 서초 사옥 앞에서 선전전을 벌이며 원청인 삼성전자의 책임을 촉구해 왔다. 노조는 △비정규직 하청노동자의 노동기본권 보장 △삼성전자의 고용승계 박탈에 대한 사과와 재발 방지 약속 △부당해고자 전원 복직 △4조2교대제 도입 및 통상임금 전액 지급 등을 요구하며 투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정년 65세 연장' 논의 본격화…이 대통령 노동공약 실현 주목
- "임금 체불하고 노동자는 해고…위니아전자 박영우 엄벌해야"
- 폭염에 쓰러지는 급식노동자...에어컨 고장난 채 체감온도 37.4°C
- "피지컬 AI 선도국 아직 없다, 대한민국이 주도권 잡아야"
- "하급심 판결문도 공개해야"...김기표, '형소법 개정안' 발의
- 'RE100 산업단지' 조성 추진…이 대통령 "규제 제로" 주문
- 폭염 속 죽음에 내몰린 노동자 "시스템이 부른 사회적 참사"
- 화섬식품노조, 오리온 부당노동행위 수사 촉구
- 용역·하청 간접고용노동자 '고용승계' 의무화 추진
- '노란봉투법' 처리 앞두고 목소리 높이는 노동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