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식 의원, 교육부 자료 분석
"교사 존중과 제도적 지원 시급"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 의원실.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 의원실. 

젊은 교사들의 조기 퇴직이 심화되고 있는 가운데, 특히 지방 지역의 중도 퇴직률이 수도권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김대식 의원(국회 교육위원회 ,부산 사상구)은 7일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시도별 중도퇴직 교원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교직 경력 5년 미만 저연차 교사의 중도퇴직 비율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고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전체 중도퇴직 교원 수는 2020년 6704명에서 2024년 7988명으로 19.2% 증가했다. 이 중 5년 미만 저연차 교원의 퇴직자 수는 같은 기간 290명에서 380명으로 31.0% 늘었다. 전체 중도퇴직자 가운데 이들의 비율도 4.3%에서 4.8%로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충남 0.28%, ∆전남 0.27%, ∆경북 0.27% 등 지방이 ∆서울(0.10%)이나 ∆경기(0.12%) 등 수도권보다 저연차 퇴직 비율이 높았다. 이는 지방 교육현장의 인력 수급 불균형으로 이어져 지역 간 교육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반면, ∆부산은 2023년 779명에서 2024년 343명으로 56.0% 줄었고, ∆강원은 317명에서 209명, ∆전북은 233명에서 158명으로 각각 감소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김 의원은 "제도 개선 효과라기보다 일시적인 통계 변동에 가깝다"고 분석했다.

김 의원은 "교권 추락, 무고성 아동학대 신고, 악성 민원 등으로 교사들이 심리적 압박을 견디기 어렵게 됐다"며 "수업과 생활지도뿐 아니라 각종 행정업무까지 떠안는 현실에서 젊은 교사들이 교단을 떠나는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지적했다.

이어 "지방일수록 중도퇴직률이 높은 것은 인력 불균형으로 이어져 교육격차를 심화시킬 수 있다"며 "교사의 조기 이탈은 단순한 인력 문제가 아니라 대한민국 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신호"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교직은 단순한 직업이 아니라 국가의 미래를 책임지는 자리"라며 "교사가 존중받고 사명감을 유지할 수 있도록 권위를 회복하고, 합당한 보상과 제도적 지원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