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52.3%, 부정 44.3%...한달새 10%포인트 이상 '긍정' 감소
보름새 서울 긍정부정 비율 뒤바뀌어... TK는 오히려 긍정 늘어
조국 사면, '대주주 10억원', 정청래 강성 노선 악영향 분석
이재명 대통령 국정 운영에 대한 국민의 평가에서 긍정이 여전 과반을 지켰으나, 4주 전 긍정의 26.2%포인트 우위가 8.0%포인트로 좁혀지면서 자칫 긍적 50% 붕괴의 기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6~18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52.3%로, 2주 전보다 4.3%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부정 평가는 44.3%로, 5.1%포인트 상승했다.
부정적 평가가 20~30대 청년층에서 50대 이상 장년층으로 확산되는 데 이어 수도권 여성의 지지층 이탈에 영남의 부정적 평가가 우세로 돌아선 데 따른다.
7월 1주(5~7일) 조사에서는 긍정 62.6%, 부정 33.9%였다. 약 한달 보름만에 긍정은 10.3%포인트 감소했고, 부정은 10.4%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이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의 50%대 붕괴 위기는 광복절 특사와 주가 하락을 초래한 '대주주 양도세 기준 10억원'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반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에다 정청래 대표의 강성 노선이 중도층 민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권역별로 보면 광주·전라에서 긍정이 72.8%로 가장 높았으며,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도 54.0%로 과반을 넘겼다. 인천·경기(53.9%)와 강원·제주(56.4%) 역시 긍정이 우세했다.
반면 서울은 긍정 47.1%, 부정 51.7%로 오차범위(±2.2%포인트)를 벗어나 부정이 더 많았다. 보름 전 조사에서는 긍정 54.4%, 부정 41.5%였으나 이번 조사에서 결과가 뒤바뀌었다. PK(부산·울산·경남)도 긍정 41.1%, 부정 53.9%로, 직전 조사(긍정 59.0%, 부정 36.6%)와 달리 부정 우세로 전환됐다. TK(대구·경북)는 긍정 50.5%, 부정 44.0%로 지난 조사(긍정 46.9%, 부정 47.0%)보다 긍정 비율이 다소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북에서 긍정 82.6%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남(68.2%)과 광주(66.2%)도 긍정이 3분의 2를 차지했다. 충남도 긍정 61.5%로 높았지만, 대전은 긍정 45.5%에 그쳐 부정(50.0%)보다 낮았다. 서울(긍정 47.1%, 부정 51.7%)과 인천(긍정 48.7%, 부정 45.3%)은 수도권 내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영남권에서는 경남(긍정 36.6%, 부정 57.8%), 부산(긍정 42.6%, 부정 52.8%), 대구(긍정 45.3%, 부정 48.6%) 모두 부정 응답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긍정 64.1%, 부정 35.2%)와 50대(긍정 59.2%, 부정 38.8%)에서 긍정 응답이 높았다. 60대(긍정 50.8%, 부정 45.7%)와 70세 이상(긍정 48.3%, 부정 44.4%)은 긍정·부정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청년층에서는 부정 응답이 크게 우세했다. 20대(18~29세)는 긍정 40.6%, 부정 54.0%로 부정이 13%포인트 많았고, 30대도 긍정 47.4%, 부정 50.6%로 부정이 우세했다.
성별로는 여성의 긍정 응답이 54.4%, 부정 41.3%로 긍정이 13%포인트 이상 높았다. 남성은 긍정 50.1%, 부정 47.4%로 격차가 2.7%포인트에 불과했다.
정당 지지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의 긍정 응답이 94.2%에 달했으며,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정이 86.3%로 압도적이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서도 긍정이 86.0%로 높았다. 그러나 무당층은 긍정 29.6%, 부정 57.1%로 비판적 기류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이 긍정 90.6%로 높은 지지를 보였으나, 보수층에서는 부정이 75.4%로 우세했다. 중도층은 긍정 58.3%, 부정 39.0%였다. '이념 성향 모름' 응답층은 긍정 43.4%, 부정 42.6%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 성·연령·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를 통해 실시됐다. 표본수는 2000명(총 통화 시도 5만6040명, 응답률 3.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통계 보정은 2025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 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조국 광복절 특사,찬성이 반대 추월 "여전 팽팽"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김문수 국힘 지지층서 부동의 1위…장동혁 약진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이재명 대통령 긍정평가 60%대 → 56.6%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정당지지도, 민주당 50% 하회...국민의힘 오름세 33%
- 김영록 지사, 새 정부 '5극 3특' 발맞춰 '초광역 협력' 시동
- 나주시, 호우피해 신속 복구 '자체설계단' 가동
- 전남해양수산과학원, AI로 어장환경 예측…기후변화 대응
- 이 대통령 만난 빌 게이츠 "SMR은 AI 전력 수요에 효과적 해법"
- 광주은행, '따뜻한 동행' 5억 5천만 원 통큰 기탁... 전남 치매어르신·아동 돕는다
- 순천시, '착한가격업소' 전기료 지원
- 김영록 지사 "산업현장 안전 사각지대 해소하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