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 52.3%, 부정 44.3%...한달새 10%포인트 이상 '긍정' 감소
보름새 서울 긍정부정 비율 뒤바뀌어... TK는 오히려 긍정 늘어
조국 사면, '대주주 10억원', 정청래 강성 노선 악영향 분석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6~18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52.3%로, 같은 기관이 2주 전(2~4일) 실시한 조사(56.6%)보다 4.3%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부정 평가는 44.3%로, 지난 조사(39.2%)보다 5.1%포인트 상승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6~18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52.3%로, 같은 기관이 2주 전(2~4일) 실시한 조사(56.6%)보다 4.3%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부정 평가는 44.3%로, 지난 조사(39.2%)보다 5.1%포인트 상승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이재명 대통령 국정 운영에 대한 국민의 평가에서 긍정이 여전 과반을 지켰으나, 4주 전 긍정의 26.2%포인트 우위가 8.0%포인트로 좁혀지면서 자칫 긍적 50% 붕괴의 기로에 놓인 것으로  나타났다.

<스트레이트뉴스>가 여론조사기관 조원씨앤아이에 의뢰해 지난 16~18일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에서 '긍정' 평가는 52.3%로, 2주 전보다 4.3%포인트 하락했다. 반대로 부정 평가는 44.3%로, 5.1%포인트 상승했다. 

부정적 평가가 20~30대 청년층에서 50대 이상 장년층으로 확산되는 데 이어 수도권 여성의  지지층 이탈에 영남의 부정적 평가가 우세로 돌아선 데 따른다.

7월 1주(5~7일) 조사에서는 긍정 62.6%, 부정 33.9%였다. 약 한달 보름만에 긍정은 10.3%포인트 감소했고, 부정은 10.4%포인트 증가한 것이다. 

이 대통령 국정운영 긍정적 평가의 50%대 붕괴 위기는 광복절 특사와 주가 하락을 초래한 '대주주 양도세 기준 10억원' 가이드라인 등에 대한 반감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데에다 정청래 대표의 강성 노선이 중도층 민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통령 권역별 국정 운영 평가 ⓒ스트레이트뉴스
이 대통령 권역별 국정 운영 평가 ⓒ스트레이트뉴스

권역별로 보면 광주·전라에서 긍정이 72.8%로 가장 높았으며, 충청권(대전·세종·충남·충북)도 54.0%로 과반을 넘겼다. 인천·경기(53.9%)와 강원·제주(56.4%) 역시 긍정이 우세했다.

반면 서울은 긍정 47.1%, 부정 51.7%로 오차범위(±2.2%포인트)를 벗어나 부정이 더 많았다. 보름 전 조사에서는 긍정 54.4%, 부정 41.5%였으나 이번 조사에서 결과가 뒤바뀌었다. PK(부산·울산·경남)도 긍정 41.1%, 부정 53.9%로, 직전 조사(긍정 59.0%, 부정 36.6%)와 달리 부정 우세로 전환됐다. TK(대구·경북)는 긍정 50.5%, 부정 44.0%로 지난 조사(긍정 46.9%, 부정 47.0%)보다 긍정 비율이 다소 높았다.

지역별로는 전북에서 긍정 82.6%가 압도적으로 높았다. 전남(68.2%)과 광주(66.2%)도 긍정이 3분의 2를 차지했다. 충남도 긍정 61.5%로 높았지만, 대전은 긍정 45.5%에 그쳐 부정(50.0%)보다 낮았다. 서울(긍정 47.1%, 부정 51.7%)과 인천(긍정 48.7%, 부정 45.3%)은 수도권 내에서도 차이를 보였다. 영남권에서는 경남(긍정 36.6%, 부정 57.8%), 부산(긍정 42.6%, 부정 52.8%), 대구(긍정 45.3%, 부정 48.6%) 모두 부정 응답이 많았다.

연령별로는 40대(긍정 64.1%, 부정 35.2%)와 50대(긍정 59.2%, 부정 38.8%)에서 긍정 응답이 높았다. 60대(긍정 50.8%, 부정 45.7%)와 70세 이상(긍정 48.3%, 부정 44.4%)은 긍정·부정이 비슷한 수준이었다. 청년층에서는 부정 응답이 크게 우세했다. 20대(18~29세)는 긍정 40.6%, 부정 54.0%로 부정이 13%포인트 많았고, 30대도 긍정 47.4%, 부정 50.6%로 부정이 우세했다.

성별로는 여성의 긍정 응답이 54.4%, 부정 41.3%로 긍정이 13%포인트 이상 높았다. 남성은 긍정 50.1%, 부정 47.4%로 격차가 2.7%포인트에 불과했다.

정당 지지별로는 민주당 지지층의 긍정 응답이 94.2%에 달했으며,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부정이 86.3%로 압도적이었다. 조국혁신당 지지층에서도 긍정이 86.0%로 높았다. 그러나 무당층은 긍정 29.6%, 부정 57.1%로 비판적 기류가 강하게 나타났다.

이념 성향별로는 진보층이 긍정 90.6%로 높은 지지를 보였으나, 보수층에서는 부정이 75.4%로 우세했다. 중도층은 긍정 58.3%, 부정 39.0%였다. '이념 성향 모름' 응답층은 긍정 43.4%, 부정 42.6%로 비슷한 수준을 보였다.

이번 조사는 지난 16일부터 18일까지 사흘간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를 대상으로 ARS 여론조사(휴대전화 100% RDD 방식, 성·연령·지역별 비례할당 무작위 추출)를 통해 실시됐다. 표본수는 2000명(총 통화 시도 5만6040명, 응답률 3.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다. 통계 보정은 2025년 7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부여 방식(림 가중)으로 이뤄졌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와 조원씨앤아이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이재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