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보다 5천억 늘어…철도·에너지·농수축산·첨단산업 등 전방위 성과
전남도가 2026년 정부예산안에 9조 4천188억 원을 반영시키는 쾌거를 거뒀다. 이는 지난해보다 6%・5천260억 원 증가한 역대 최대 규모로, 전남의 미래성장 동력과 주요 현안 사업이 대거 포함됐다.
전남도는 국회 심의 과정을 통해 최종 9조 7천억 원 이상을 확보한다는 목표다.
이번 예산 확보를 통해 전남의 각 분야에 청신호가 켜졌다. 특히 전남의 미래를 책임질 신규 사업 49건(총 사업비 5조 5천594억 원)에 2천724억 원이 반영됐다.
김영록 지사는 29일 도청 브리핑룸에서 “국민주권 정부 기조에 부합하는 전략과 시군·지역 국회의원과의 협업을 통해 노력한 결과로 의미있는 성과를 거둘 수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세계 경기 둔화와 세수 부족 등 어려운 재정 여건에서도 전남도가 다시 한번 새로운 역사를 쓰는 계기가 됐다”며 “이제 전남은 ‘국비 9조 원 시대’를 넘어 ‘10조 원 시대’를 향해 당당히 나아가고 있고, 주요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하게 됐다”고 덧붙였다.
특히 “그동안 중점 건의했던 호남고속철도 2단계, 경전선 전철화 등이 반영돼 광역 교통망 적기 구축과 전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신규 사업 49건이 반영돼 새로운 성장 기반 마련됐다”고 강조했다.
분야별 예산 확보 사업은 전남 발전의 초석이 될 SOC 분야의 경우 광주 송정~목포 간 호남고속철도 2단계(1,632억 원), 광주 송정~순천 간 경전선 전철화 사업(1,672억 원) 등 광역 교통망 구축에 필요한 예산을 확보했다.
또한 여수~남해 해저터널(520억 원), 무안·여수공항 시설개선(96억 원) 등도 반영돼 지역 접근성이 크게 향상될 전망이다.
대한민국 에너지 수도 전남 도약을 위해 AI 분산형 전력망 신산업 육성 사업(1,196억 원), K-Grid 인재·창업 밸리 조성(195억 원), 해상풍력용 부품 시험센터 구축(20억 원) 등 차세대 재생에너지 신산업 예산이 대거 포함됐다.
농·수·축산업 분야는 국가 농산업 AI플랫폼 사업(200억 원), 마른김 거래소 플랫폼 장비 구축(4억 원) 등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예산이 반영됐다.
전남의 미래 100년을 책임질 첨단 연구개발(R&D)과 전략산업 분야는 친환경 선박용 극저온 단열시스템 생산 제조 기반 구축(22억 원), 데이터센터 탄소중립을 위한 열관리 기술개발(16억 원), 미래 이차전지 원료·소재 실증 플랫폼 기반구축(23억 원), 차세대 융합 면역치료 원천기술 개발(40억 원)이 반영됐다.
화순군 폐광지역 경제진흥 개발(32억 원), 나주에너지국가산단 진입도로 개설(2억 원), 여수국가산단 확장단지 진입도로 건설(1억 원), 스케일업 실증센터 구축(5억 원), 지역 산업위기대응(179억 원) 등 산업 인프라를 확충한다.
또한 국립해양수산박물관 건립(35억 원), K-디즈니 애니·웹툰 인재양성 거점기관 조성(3억 원) 등 관광 및 문화분야 예산도 확보했다.
전남도는 정부안에 반영된 예산 외에도 국회 심의 단계에서 3천억 원 이상을 추가로 확보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주요 증액 건의 사업으로는 호남고속철도 2단계 사업(998억 원 증액),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50억 원 증액), 압해~화원/화태~백야 국도 77호선 연결(988억 원 증액) 등이 포함됐다.
김영록 지사는 “국회 심의 과정에서도 전남의 미래 100년을 위한 핵심사업이 반드시 반영되도록 여야 국회의원들과 긴밀히 협의하는 등 국회 최종 의결까지 최대한 많은 예산을 반영하도록 혼신의 노력을 기울일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전남=문미선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