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속·증여재산 73조 원 시대…부의 대물림, 부동산에서 금융으로 이동
주식·예금 등 금융자산 증여 증가율, 부동산의 2배
진성준 "조세정책, 자산 중심으로 강화해야 불평등 완화"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진성준 의원. 의원실. 

최근 10년 사이 주식·예금 등 금융자산 증여액이 120% 가까이 증가하며 부동산 증여액 증가율의 두 배를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속·증여재산 규모는 73조 원을 넘어섰고, 부의 대물림 양상이 부동산에서 금융자산으로 급속히 이동하면서 자산 불평등 심화에 대한 경고음이 커지고 있다.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진성준 의원(서울 강서구을)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상속세 및 증여세 재산가액'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상속·증여 재산가액은 73조490억 원으로 집계됐다. 상속 재산가액은 44조4151억 원으로 2015년(10조363억 원) 대비 342.5% 증가했고, 증여 재산가액은 28조6339억 원으로 2015년(14조7294억 원)보다 94.4% 늘었다.

증여 재산가액의 증가세는 부동산보다 금융자산에서 두드러졌다. 부동산 증여 재산가액은 2015년 6조7606억 원에서 2024년 10조8965억 원으로 61.2% 증가하는 데 그쳤다. 반면, 주식 등 유가증권과 예금 등 자산을 합한 금융자산 증여 재산가액은 같은 기간 7조1015억 원에서 15조6105억 원으로 119.8% 늘어났다. 유가증권 증여 재산가액은 2조8119억 원에서 6조1866억 원으로, 예금 등 자산 증여 재산가액은 4조2896억 원에서 9조4239억 원으로 10년 전보다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상속 재산가액 역시 부동산과 금융자산 모두에서 큰 폭으로 늘었다. 부동산 상속 재산가액은 지난해 29조4253억 원으로 2015년(6조4744억 원) 대비 354.5% 급증했고, 금융자산 상속 재산가액은 같은 기간 3조592억 원에서 12조1178억 원으로 296.1% 증가했다.

진성준 의원은 "최근 부의 대물림이 부동산에서 금융자산으로 옮겨가고 가상자산 급증 등 금융시장의 환경도 바뀌면서 자산 양극화가 크게 늘고 있다"며 "저성장 고착화와 저출생·고령화로 국가 재정 부담이 커진만큼 조세정책도 소득에서 자산 중심으로 강화해야 불평등 해소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