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프랑스 오피스펀드 2년 연속 손실, 매각 전 자금회수 불가능
안호영 "운용사 의존 투자가 초래한 참사…내부 검증 강화해야"
국내 연기금과 공제기관의 해외 대체투자 부실이 잇따르는 가운데, 건설근로자공제회가 투자한 해외 부동산 사모펀드 두 건에서 2년 연속 대규모 손실이 발생했다. 손실 규모는 총 281억 원에 달한다.
안호영 국회의원(국회 기후에너지환경노동위원장·더불어민주당·전북 완주·진안·무주)이 건설근로자공제회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공제회는 △2018년 미국 오피스빌딩에 358억 원, △2019년 프랑스 오피스빌딩에 344억 원을 투자했다. 그러나 두 건 모두 공실률 급등으로 2023년부터 연속 손실을 기록 중이다.
프랑스 부동산은 2023년 63억 원, 2024년 65억 원의 평가손실을 냈으며, 미국 오피스빌딩은 2023년 76억 원, 2024년 77억 원의 손실을 기록했다. 이로써 공제회가 두 펀드에서 잃은 금액은 총 281억 원에 이른다.
공제회는 손실 원인으로 ‘공실률 상승’을 꼽았다. 프랑스 오피스빌딩의 공실률은 투자 당시 5%에서 2024년 4분기 19.8%로 급등했고, 미국 오피스빌딩 역시 20.1%에서 22.7%로 높아졌다.
이러한 리스크는 투자 초기부터 지적됐지만, 공제회는 운용사의 낙관적 전망에 의존했다. 프랑스의 경우 “파리올림픽으로 부동산 경기가 회복될 것”이라는 의견, 미국의 경우 “정부기관 입주 비중이 높아 안정적”이라는 운용사 판단을 그대로 수용한 것이다.
문제는 두 펀드 모두 ‘폐쇄형 상품’이라 중도해지가 불가능하다는 점이다. 자금회수가 불가능한 구조임에도, 공제회는 매각 전까지 손실을 방어할 방법이 사실상 없다.
공제회는 뒤늦게 △관리계획서 징구 △신규자금 배정 금지 조치를 취했으나, 실질적 대응은 운용사 재량에 맡겨진 상태다.
더 큰 문제는 투자 결정을 내릴 당시 공제회가 이미 리스크를 인지하고 있었다는 점이다. 공제회의 내부 리스크관리보고서에는 “부동산시장 위축 가능성으로 매각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는 우려가 명시돼 있었으며, 투자심의위원회에서도 관련 지적이 있었지만 투자가 강행됐다.
현재 공제회는 대부분의 기관투자자와 마찬가지로 운용사가 제출한 법률·세무·재무 실사 보고서와 감정평가 자료에만 의존해 투자를 결정하고 있다. 외부 검증 없이 운용사의 판단에 전적으로 의존하는 구조다.
안호영 의원은 “적정한 내부 검토 없이 운용사 판단에 의존한 결과, 280억 원이 넘는 건설근로자 자금이 사실상 증발했다”며 “공제회는 투자 검증 절차를 강화하고, 운용사와의 책임 분담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 자금은 단순한 투자금이 아니라 건설노동자들의 땀으로 쌓인 돈”이라며 “공공기관의 해외투자가 보다 투명하고 책임 있게 운용되도록 제도 개선이 시급하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국감2025]70대 취약 자영업자 대출 37조원 '사상 최대'...은퇴·생계 이중고
- [국감2025]산재 보고의무 위반, 공표보다 9배 많아…노동부 관리 '구멍'
- KT 유심 재고율 3%에 불과..."추가 피해시 감당 못 해"
- 기업 지식재산 침해 사건 급증…수사 지연·송치율 반토막
- 청년·신혼부부 공공임대 3년 새 90% 급감…"주거사다리 붕괴"
- [국감2025]5년간 세금 과오납 환급금 34조원…"사후환급 중심 행정 여전"
- [국감2025]3m 미만 추락사 비율 68%…산업용 사다리 안전 기준 '제로'
- [국감2025] 국적선사 외면한 가스공사...10년 뒤 LNG운송 외국선박이 독점
- [국감2025] 산재보험 부정수급 1년 새 6배 폭증...브로커와 공모
- [국감2025] 민주당 대법원 현장검증 강행...사법부와 정면충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