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가계 모두 부담 커져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국내은행의 대출 연체율이 두 달 연속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경기 둔화와 내수 부진이 장기화하면서 기업과 가계 모두 상환 부담이 커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2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8월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0.61%로 집계됐다. 전월(0.57%)보다 0.04%포인트 높아졌다. 올해 5월 0.64%로 8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찍은 뒤, 분기 말 정리 영향으로 6월에 0.52%까지 떨어졌으나 다시 상승 곡선을 그리고 있다.

8월 한 달 동안 신규로 발생한 연체는 2조9000억원으로 전월보다 1000억원 늘었다. 같은 기간 정리된 연체채권 규모도 1조8000억원으로 2000억원 늘었지만, 신규 연체 발생이 정리 규모를 앞지르며 전체 연체율이 오르는 결과를 낳았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대출 연체율은 0.73%로 전월(0.67%) 대비 0.06%포인트 상승했다. 특히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이 0.89%로 0.07%포인트나 올랐다. 대기업 대출 연체율은 0.15%로 0.01%포인트 상승에 그쳤다.

가계대출 연체율도 0.45%로 전월보다 0.02%포인트 상승했다. 세부적으로 주택담보대출(주담대)은 0.30%로 0.01%포인트 높아졌고, 주담대를 제외한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 연체율은 0.92%로 0.06%포인트 상승했다.

금융감독원 관계자는 “내수 부진과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으로 연체·부실이 확대될 가능성에 대비해야 한다”며 “은행들이 충분한 손실흡수 능력을 유지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