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이’와 ‘고래회충’ 퇴치에서 출발한 독(毒)의 역사
항생제 대신 대폭 늘어난 과산화수소와 살충제 사용량
기생충뿐 아니라 새우와 바다가재까지 죽이는 살충제
유럽연합 금지 화학물질 ‘엔도설판’, 연어 살에서 검출돼

부드럽고 말랑한 촉감으로 혀를 감돌면서 고소하게 감기는 맛, 게다가 저렴한 몸값에 건강식품으로 소문난 연어. 어느새 우리 식탁에 친구로 오른 연어는, 그러나 거대 자본의 가두리 양식장에서 위해성 논란에 휩싸인 사료로 대량 생산된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웰빙’ 먹거리로서의 존재감이 180도 뒤바뀐다. 양식 연어, 특히 노르웨이산 연어가 식탁에 올려서는 안 될 위해성 논란의 중심에 섰다. 위해성 의혹이 자연산보다 수 배 커진 양식 연어의 몸집만큼이나 세계적으로 부풀려지고 있다. 의혹의 중심에는 살충제와 항산화제 및 독성물질의 검출, 사료 원료의 오염 여부, 생태계 교란 문제 등이 있다. 스트레이트뉴스는 우리 식탁에 오르는 먹거리의 안전에 대한 시민들의 우려를 반영해 오염 논란이 가시지 않는 노르웨이산 양식 연어의 안전성을 집중 조명하는 특집을 마련했다.<편집자주>

<기획 순서>
① ‘독성 논란’ 양식 연어, 끝없는 위해성 증폭
② 중금속・발암물질...양식 연어의 독(毒)한 흑역사
③ 양식 연어 ‘독성’ 살충제 먹고 자란다
④ 노르웨이 국민도 외면한 양식 연어 “발암물질 사료 도마에”
⑤ 양식 연어 환경독소 심각 “임산부・어린이에 악영향”
⑥ 미국 ‘양식연어, 세계 최악 유독 식품’...한국만 “문제없다"
⑦ 연어 양식장, “사료・배설물・살충제에 죽어나가는 자연”
⑧ 노르웨이 연어 두고 장관 연루 의혹 불거진 정치권
⑨ 유전자조작(GM) 연어 식탁 오를 날 머지않아
⑩ 연어 특집 후기, 국내 양식 어류는 안전한가?

[스트레이트뉴스=김태현 선임기자] “새우나 바다가재 같은 갑각류는 자라면서 껍데기를 몇 차례 갈아입습니다. 그런데 연어 양식장에서 쓰는 살충제 때문에 이놈들이 껍질을 못 만들어서 죽어가고 있습니다. 연어 가두리에 살충제를 살포한 다음에 바다가재 통발을 끌어올려 보면요, 잡히기는 잡혔지만 다 죽어 있는 경우가 비일비재합니다. 새우잡이 트롤 어선이나 바다가재 통발 어선에는... 이건... 지금까지 한 번도 없었던 재앙입니다.”

노르웨이 환경단체 ‘노르게스 밀죄베른포분트(Norges Miljøvernforbund)’의 루벤 오데칼프(Ruben Mjelde Oddekalv) 부회장이 스트레이트뉴스와 가진 전화 인터뷰에서 폭로한 내용이다.

세계 각지에서 일어나는 논란, "기생충 죽이는 살충제 때문에

새우와 바다가재 등 해양 갑각류까지 죽어나간다."

새우, 바다가재 등 해양 갑각류 죽이는 화학약품들

어류 양식의 특성 상 밀식은 피할 수 없고, 밀식은 각종 기생충과 질병을 부른다. 연어 해상 가두리도 마찬가지다.

연어 양식업자들은 각종 기생충과 질병을 퇴치하기 위해 해상 가두리에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와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 에마멕틴(emamectin) 등 살충제(pesticide)를 사용한다. 이런 살충제의 유해성 논란이 세계 각지로 확산되고 있다.

밀식 논란이 가시지 않는 노르웨이 해상 가두리(자료:undercurrentnows) ⓒ스트레이트뉴스
밀식 논란이 가시지 않는 노르웨이 해상 가두리(자료:undercurrentnows) ⓒ스트레이트뉴스

2018년 12월, 노르웨이 남서부 항구도시 스타방에르(Stavanger)에 위치한 국제조사연구소(Inter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Stavanger)는 “연어 양식장에서 과산화수소 사용이 확산되는데, 이는 이전에 생각했던 것보다 새우에 더 치명적”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Trish Examiner, 2018.12.21).

비슷한 시기, 스코틀랜드에서도 연어 양식장에서 사용하는 두 가지 화학물질에 대한 경고가 터져 나왔다. 스코틀랜드 환경보호국(Scottish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소속 연구자들이 “연어 양식에 쓰이는 에마멕틴(Emamectin)과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의 나쁜 영향이 주변 지역을 넘어 확장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던 것.

해양 갑각류를 죽음으로 몰아넣는 살충제의 유해성 논란이

노르웨이, 스코틀랜드, 아일랜드 등 연어 양식국가를 중심으로 확산되고 있다.

아일랜드 환경운동단체 GBASC(Galway Bay Against Salmon Cages)의 빌리 스미스(Billy Smyth) 회장도 자국의 마이클 크리드(Michael Creed) 수산부 장관에서 서신을 보냈는데, 그 서신에는 “연어 양식장에서 쓰는 살충제와 화학물질들이 새우와 바닷가재, 기타 갑각류를 죽음으로 몰아가고 있다는 사실이 의심의 여지없이 입증됐다”는 내용이 포함됐다.

아래는 환경단체 노르게스 밀죄베른포분트(Norges Miljøvernforbund)가 “노르웨이 연어 해상 가두리에서 쓰는 살충제가 새우와 바다가재에 얼마나 위험한지 한국 소비자들에게 알려주고 싶다”며 스트레이트뉴스에 보내 온 영상이다.

<위 영상에는 25년 동안 노르웨이 연어 양식 실태를 파헤쳐 온 환경운동가 쿠르트 오데칼프(Kurt Oddekalv)가 해양 갑각류에 미치는 살충제의 악영향을 고발하는 내용이 생생하게 담겨 있다. (자료:Norges Miljøvernforbund)ⓒ스트레이트뉴스/자막KSJC>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살충제가 해양 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는 연구 결과를 이미 알고 있었다.

사실, 과산화수소 및 디플루벤주론, 테플루벤주론 등 플루벤주론(flubenzuron) 계열 살충제가 해양 갑각류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지적은 노르웨이 수산 당국과 학계에서도 이미 제기된 바 있다.

노르웨이 정부의 입장을 대변하는 식품안전과학위원회(VKM, The Norwegian Scientific Committee for Food Safety)는 2014년에 ‘노르웨이 식단의 생선 및 생선 제품에 대한 편익·위험 평가 업데이트’ 보고서(Report No. 2014:15)에서 살충제의 위험 가능성에 대해 이렇게 확인했다.

“바다 이(sea lice)를 처치하기 위한 수의학 약품 사용이 2009년 이래 늘어났다. 플루벤주론 사용량이 늘어나면서 환경에 대한 우려가 제기됐다. 바다 이는 갑각류 그룹에 속하는데, 양식에 사용되는 플루벤주론이 가두리 근처에 서식하는 다른 갑각류 종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Samuelsen at at., 2014)

살충제 논란이 세계적으로 확대되기 이전부터, 살충제로 인해 해양 갑각류가 치명적인 영향에 노출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이미 나와 있었던 것이다.

그렇다면 2009년 이전, 양식업자들이 각종 기생충과 질병을 퇴치하기 위해 사용한 방법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해진다. 그들이 사용한 것은 항생제(antibiotics)였다. 양식업자들은 왜 항생제에서 살충제로 갈아탔을까? 그 이유를 추적했다.

노르웨이산 양식 연어 항생제 걱정은 없어

전 세계 어류 양식업자들이 해상 가두리에 항생제를 쓰기 시작한 이후, 항생제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의혹이 끊이지 않았다. 글로벌 양식업계는 항생제 의혹이 일 때마다 감싸기에 급급했지만, 2009년 결국 칠레산 양식 연어 항생제 파동이 발생하면서 의혹은 현실이 됐다.

칠레산 양식 연어 생산량 및 항생제 사용량 변동 추이. 칠레의 연어 양식업자들은 2009년 항생제 파동 이후 오히려 항생제 사용량을 더 늘여왔다.(자료:Courtesy of Pharmaq/undercurrentnews) ⓒ스트레이트뉴스
칠레산 양식 연어 생산량 및 항생제 사용량 변동 추이. 칠레의 연어 양식업자들은 2009년 항생제 파동 이후 오히려 항생제 사용량을 더 늘여왔다.(자료:Courtesy of Pharmaq/undercurrentnews) ⓒ스트레이트뉴스

그러나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칠레 항생제 파동 이전부터 항생제 사용량을 대폭 줄여왔고, 2015년 세계보건기구(WHO)로부터 “백신을 사용한 덕에 항생제 사용량이 노르웨이 국민이 사용한 항생제보다 적은 연간 1톤 수준으로 줄었다”는 발표를 이끌어냈다. 하지만 이는 '눈가리고 아웅'에 불과했다.

항생제 파동 이후, 칠레는 항생제 사용량을 늘여왔지만,

노르웨이는 항생제 억제에 성공했다.

그간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항생제 사용을 억제하기 위해 상당한 노력을 기울였다. 당국은 항생제 사용을 엄격히 모니터링 하는 한편, 특정 질병에 대한 수의사의 처방전이 있는 경우에 한해 항생제 사용을 승인했다.

그 결과, 1990년대 이후 생산량이 5만여 톤에서 130여만 톤으로 급격히 늘어나는 동안, 항생제 사용량을 사실상 ‘0’에 가까운 kg당 0.00034g으로 줄일 수 있었다.

2014년의 경우, 칠레가 895,000여 톤의 연어를 생산하면서 총 563,200kg의 항생제를 사용한 데 비해, 노르웨이는 130여 만 톤 생산에 고작 973kg을 썼을 뿐이다. 미국의 양계농장들이 kg당 1g 가까운 항생제를 쓰는 현실과 비교해도 대단한 성공이 아닐 수 없다(NIFES).

이제 노르웨이산 양식 연어를 구매하는 세계 소비자들은 최소한 항생제 남용에 대해서는 우려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의 발표는 항생제 사용량이 줄어든 대신 살충제 사용량이 대폭 늘어난 사실을 외면한 반쪽짜리 발표였다.

항생제 대신 대폭 늘어난 살충제 사용량

전 세계 연어 양식업자들은 ‘바다 이(Sea Lice, Lepeophtheirus salmonis)’와 고래회충으로 알려진 ‘아니사키스(anisakis)’, 그리고 ‘아메바성 아가미병(amoebic gill disease)’ 등 각종 기생충과 질병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특히 바다 이는 1차 감염 증세인 피부 병변과 삼투압 조절 불능에 이어, 연어의 색을 변형시키고 유전적 기형의 원인으로 작용하며, 밀식하는 양식의 특성 상 한번 발생하면 폭발적으로 전염돼 대량 폐사를 초래한다. 글로벌 양식산업이 바다 이로 인해 입는 손실은 매년 10억 달러(약 1조1,200억 원)에 달한다.

어류 양식산업의 천적, 바다 이(Sea Lice)(자료:SLRC, Sea Lice Research Centre) ⓒ스트레이트뉴스
어류 양식산업의 천적, 바다 이(Sea Lice)(자료:SLRC, Sea Lice Research Centre) ⓒ스트레이트뉴스

세계 양식업자들은 바다 이를 퇴치하기 위해 항생제를 택했지만, 항생제를 쓰면 쓸수록 바다 이를 비롯한 기생충들은 내성을 키워갔고, 따라서 해마다 더 많은 항생제가 필요했다. 이는 결국 칠레 항생제 파동으로 이어졌다.

양식업자들이 대안으로 택한 것은 백신이었다. 하지만 이는 세계 수산시장에 보이기 위한 것일 뿐, 국내적 대안은 과산화수소, 디플루벤주론, 테플루벤주론, 에마멕틴과 같은 살충제였다.

항생제 사용 억제에 성공한 노르웨이, 그러나 그 이면에는

'살충제 사용량 대폭 증가'라는 더 무서운 사실이 도사리고 있다.

세계보건기구가 노르웨이 양식업계의 항생제 사용량 대폭 감소를 발표했던 2015년 10월, 노르웨이수산물연맹(FHL)은 ‘2014년 살충제 사용량’ 보고서를 내놨다.

보고서에 따르면, 항생제 계통 살충제인 ‘에마멕틴(emamectin)’의 사용량은 전년보다 4배 증가한 3만 톤을 넘어섰고, 금지약품인 ‘디플루벤주론(diflubenzuron)’과 ‘테플루벤주론(teflubenzuron)’의 사용량도 지난해 대비 각각 50%나 증가한 것으로 밝혀졌다. 항생제와 백신의 빈자리 중 일정 부분을 살충제가 대신했던 셈이다.

논란이 일자, 당시 노르웨이 국립영양및해산물조사연구소(NIFES, The Norwegian National Institute of Nutrition and Seafood Research, 현재 해양조사연구소의 한 부서)는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전 지구적으로 약 230~260만 톤의 살충제가 사용됐고, 합법적인 살충제가 전 세계에서 작물용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료와 식품에 살충제가 일정 부분 잔류하는 것은 피할 수 없다”며 진화에 나섰다(NIFES).

2012년, 노르웨이 환경운동가 쿠르트 오데칼프(Kurt Oddekalv)가 오스트리아 국영TV를 통해 보여준 영상에서는 조류독감 농장에 투입되는 인력들이 착용하는 복장에 마스크까지 낀 인부들이 연어 해상 가두리를 향해 살충제를 대량 살포하고 있었다. 장비만 자동화됐을 뿐, 지금도 크게 달라졌다는 보고는 찾기 어렵다.

노르웨이 피오르드(fjord)의 한 연어 해상 가두리에서 선박을 동원해 살충제를 살포하는 모습(자료:naturalsynergycure.com) ⓒ스트레이트뉴스
노르웨이 피오르드(fjord)의 한 연어 해상 가두리에서 선박을 동원해 살충제를 살포하는 모습(자료:naturalsynergycure.com) ⓒ스트레이트뉴스
노르웨이 롤라 & 안돌야섬(Rolla & Andorja Island) 인근 연어 해상 가두리에서 자동설비로 사료와 살충제를 투여하는 모습(자료:nationalgeographic by Artur Widak) ⓒ스트레이트뉴스
노르웨이 롤라 & 안돌야섬(Rolla & Andorja Island) 인근 연어 해상 가두리에서 자동설비로 사료와 살충제를 투여하는 모습(자료:nationalgeographic by Artur Widak) ⓒ스트레이트뉴스

지난 2012년, jtbc가 ‘미각스캔들-노르웨이 연어의 두 얼굴’ 편에서 이 문제를 집중 보도한 바 있다.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연어 양식에 반대하는 환경운동가의 입장만 대변한 편파적인 방송에 유감을 표한다”며 “노르웨이 국립영양및해산물조사연구소(NIFES)와 노르웨이 식품안전청(The Norwegian Food Safety Authority) 조사 결과, 디플루벤주론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그러나 당시에도 과산화수소와 테플루벤주론, 에마멕틴에 대한 설명은 없었고, 스트레이트뉴스 취재 결과 지금도 찾을 수 없었다.

유럽연합이 금지한 살충제 엔도설판

그 후 살충제 중 ‘엔도설판(endosulfan)’이 다시 도마 위에 올랐다. 엔도설판은 스톡홀름 협약(Stockholm Conventions) 리스트에 ‘지속되는 유기 오염물질’로 등재되어 유럽연합이 동물사료용 살충제로 사용할 수 없도록 엄격히 금지한 화학약품이다. 당연히 연어 양식 현장에서도 어떤 식으로든 사용할 수 없다.

인도의 엔도설판 피해자들과 엔도설판 퇴치운동 구호. 2006년, 인도 케랄라 지방에서 엔도설판 과다 사용으로 인해 135명이 사망했다. 인도는 엔도설판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가이자, 주요 생산국이다. 연간 8,500톤을 생산해 4,500톤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4,000톤은 수출한다.(자료:indiaenvironmentpotal/newamericamedia) ⓒ스트레이트뉴스
인도의 엔도설판 피해자들과 엔도설판 퇴치운동 구호. 2006년, 인도 케랄라 지방에서 엔도설판 과다 사용으로 인해 135명이 사망했다. 인도는 엔도설판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국가이자, 주요 생산국이다. 연간 8,500톤을 생산해 4,500톤은 국내에서 사용하고, 4,000톤은 수출한다.(자료:indiaenvironmentpotal/newamericamedia) ⓒ스트레이트뉴스

유럽연합(EU)이 금지한 엔도설판, 노르웨이는 유럽경제공동체(EEC) 기준을 적용하고 있다.

그러나 유럽연합과 달리, 유럽경제공동체(EEC)는 어류 사료에 최대 0.05mg/kg의 엔도설판 사용을 허용하고 있다(EC Commission Regulation No. 744/2012). 분명 엇갈린 기준이다. 노르웨이는 유럽경제공동체의 기준을 적용한다.

스트레이트뉴스는 주한노르웨이대사관에 입장을 물었다. 군바르 비에 상무참사관은 “노르웨이는 엔도설판에 대한 유럽연합 규정을 고수하고 있으며, 노르웨이 양식산업은 엔도설판을 어류 양식용 살충제로 사용하지 않는다”고 부인했다. 하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

군바르 비에 상무참사관의 답변과 달리, 2013년 노르웨이산 양식 연어 저민살(fillet)에서 0.006mg/kg의 엔도설판이 검출됐다(NIFES, Hannisdal et al, 2014). 사료가 아니라 ‘연어 살’에서 말이다. “엔도설판을 어류 양식용 살충제로 사용하지 않는다”는 군바르 비에 상무참사관의 답변과 정면으로 배치된다.

(자료:tft)
노르웨이는 청정 자연환경을 자랑한다. 그러나 인체유해한 사료와 살충제로 대량 양식하는 노르웨이산 연어는 자연산과 달리 건강식품과는 거리가 있다는 게 양식 연어 전문가의 지적이다. 사진은 겨울철 노르웨이 해안의 연어 가두리 양식장. (자료:tft)

이는 사료 원료 성분에 어쩔 수 없이 함유되는 범위를 넘어서는 수치로, 양식장에 직간접적으로 살포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 국내 학자들의 평가다.

엔도설판이 사료가 아닌 양식 연어 저민 살(fillet)에서 검출됐음에도,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인체에 위험하지 않다는 입장이다.

양식 연어 저민 살(fillet) 1kg에서 검출된 0.006mg의 엔도설판, 유럽연합 기준으로는 분명 반송 또는 폐기 조치가 불가피한 수치다. 2013년 0.006mg의 엔도설판이 검출되자,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그 수치를 체중 1kg당 일일 섭취 허용 권고치로 탈바꿈시켜 버렸다.

노르웨이 수산 당국은 이 섭취 허용 권고치에 기초해 “유럽식품안전청(EFSA)이 연어 사료에 포함된 엔도설판이 인체 건강이나 동물 복지의 위험 요소가 아니라고 결론지었다”며 건강에 대한 우려는 없다는 입장이다(seafoodfromnorway.us).

항생제가 차지했던 자리를 살충제인 과산화수소와 디플루벤주론, 테플루벤주론, 에마멕틴이, 다시 그 자리 중 일부를 엔도설판이 차지한 모양새다. 엔도설판의 유해성 논란이 심화될 경우, 또 다른 살충제가 언제든 그 자리를 대신할 수 있다는 합리적 의심으로부터 자유롭지 못한 대목이다.

그리고 2019년 현재, 또 하나의 살충제가 양식 연어 유해성 논란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bizlink@straightnews.co.kr

이전기사 ▶ [ST 심층기획] 중금속・발암물질…양식 연어의 독(毒)한 흑역사
후속기사 ▶ [ST 심층기획] 노르웨이 국민도 외면한 양식 연어 "발암물질 사료 도마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