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FOMC 금리 동결..시장 영향 제한적

FOMC 기준금리 동결 근거를 설명중인 파월 미 연준 의장. 미 연준 홈페이지 기자회견 동영상 캡처.
FOMC 기준금리 동결 근거를 설명중인 파월 미 연준 의장. 미 연준 홈페이지 기자회견 동영상 캡처.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종전 수준인 4.25~4.50%로 동결했다. 최근 달러 약세 현상과 막대한 부채 탓이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 현지에선 “비트코인법이 미국의 부채위기를 돌파할 수 있는 유일한 해결책”이란 목소리가 있다.


 관세 불확실성과 부채 이슈..연준, 통화정책 ‘신중’


7일(현지 시간) 주요외신 보도에 따르면, 연방준비제도는 FOMC 정례회의 결과를 발표하며 금리 동결 사실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연준은 신중한 입장을 고수했다. 이날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FOMC 후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금리 인하 압박은 전혀 영향 없다”며 독립성을 강조했다.

파월 의장은 “지금의 금리 수준이 적절하다”며 “향후 통화정책은 데이터에 따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리스크가 3월보다 상승했다”면서도 “경제 전반은 예상보다 견고하다”고 평가했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 2기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 아직 데이터로 확인되지 않았다”며 “무역은 연준의 책무가 아니며, 현 시점에서 선제적으로 대응할 단계는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증권업계에선 이번 금리 동결 결정을 두고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어느정도 예상된 결과지만 파월 의장을 포함한 미 연준은 통화정책 변화에 매우 신중한 입장을 보였고 관세 영향, 즉 관세가 물가와 경기에 미칠 영향을 확인하기 이전까지 지켜볼 것임을 분명히 했다"며 "결론적으로 6월 FOMC 회의에서도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한층 커졌다"고 설명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5월 FOMC는 상방이든, 하방이든 양쪽 측면에서 별다른 재료를 주지 못했다”며 “1분기 역성장이나 소비심리지수, 기업심리지수 등 심리지표들이 모두 약화되기는 했지만, 실물 데이터 상 경제가 둔화되고 있다는 명확한 증거가 없다는 입장”이라고 말했다. 

허재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연준은 선제적으로는 금리를 안 내리겠다는 뜻을 '기다린다'는 표현으로 대신했다”며 “연준이 6월보다, 7월에 금리를 인하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달러 약세·부채 부담 속 비트코인법 부상


시장전문가들 사이에선 5월 FOMC가 금리를 동결한 것에 대해 최근 달러 가치 약세 현상을 언급한다.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경우, 시장에 더 많은 돈이 풀리게 되고 이는 곧 달러 가치의 추가 하락을 야기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미국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 인덱스(DXY)는 올해 들어 8%나 하락했으며, 지난달에는 한 달 기준으로 4.3% 급락해 2년여 만에 가장 큰 하락폭을 기록했다.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미국의 막대한 부채 규모도 금리를 선뜻 내리지 못한 원인으로 해석된다. 올해 3월 기준, 미국 연방정부의 총 부채는 약 36조5600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 중 약 29조 달러는 일반인, 외국 정부, 금융기관 등이 보유한 부채이며, 나머지 7조4000억 달러는 사회보장기금 등 정부 내부 계정이 보유한 부채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예측한 것으로 유명한 세계적 투자자 레이 달리오는 최근 소셜미디어를 통해 “부채 자산은 미래에 특정 통화를 받을 수 있다는 약속이며, 우리가 통화를 보유한다는 것은 곧 부채성 금융자산을 보유하는 것이기 때문에, 본질적으로 부채와 통화는 같은 것”이라며 “이것이 바로 최근 달러가 대부분의 다른 통화에 대해 약세를 보이는 보인 이유”라고 말했다.

미국 정치계에선 달러의 대안책으로 가상자산을 주목한다.

최근 신시아 루미스 미국 공화당 상원의원은 ‘비트코인 법안’을 발의했다. 이 법안은 미국 정부가 5년간 비트코인 총 공급량의 약 5%에 해당하는 100만 BTC를 확보해 비트코인의 전략적 국가 자산으로서의 위상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루미스 상원의원은 “비트코인법이 36조 달러를 웃도는 국가 부채에 대한 유일한 해결책”이라며 “비트코인 준비금이 국가 부채를 해결함과 동시에, 금융 혁신의 글로벌 리더로서 미국의 입지를 확고히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비트코인 이용이 확대됨에 따라 시스템 전반의 안전성과 견고성, 전 세계 사람들의 요구에 대한 대응 능력이 향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로이터 제공.
로이터 제공.

이러한 배경 탓에 비트코인은 5월 FOMC에서 기준금리를 동결한 뒤에도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실제로 가상화폐거래소 빗썸에서 오전 8시 45분 기준 비트코인은 24시간 전보다 1BTC(비트코인 단위)당 0.10% 오른 1억3777만20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 도입 논의가 활발하다. 전날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는 청년 공약으로 ‘가상자산 현물 ETF’를 도입하고, 거래 수수료를 인하하겠다고 했다.

여당은 가상자산 ETF 법안을 발의하며 제도화에 속도를 내고 있으며, 빗썸과 업비트 등 주요 가상자산 거래소 역시 덩치를 키우고 있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빗썸은 자산 총액(5조2000억 원)이 5조원을 넘겨 대기업 집단 90위에 새롭게 편입됐다. 기존 대기업 집단이었던 두나무 역시 1년 새 자산이 9조5000억원에서 15조9000억원으로 67% 이상 불어났다. 두나무는 재계 순위 53위에서 36위로 17단계가 뛰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