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제품과 자동차 등 미국 관세 부담 수출 감소
6월 경상수지가 월간 기준으로 역대 최대인 142억7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반도체를 중심으로 한 수출 회복세와 배당수입 증가가 맞물린 결과다. 그러나 철강·자동차 수출 감소와 같이, 일부 품목에선 미국의 관세 정책이 서서히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7일 한국은행은 국제수지 잠정치를 발표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6월 경상수지는 142억7000만 달러 흑자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101억4000만 달러)은 물론, 지난해 같은 달(131억 달러)보다도 많은 수치다. 2000년대 이후 기준으로는 세 번째로 긴 ‘26개월 연속 흑자’ 기록이기도 하다.
상반기 누적 흑자는 493억7000만 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92억 달러 증가했다. 이는 상반기 기준으로도 역대 세 번째에 해당하는 대규모 흑자다.
전체 경상수지의 주축이 된 것은 상품수지다. 6월 상품수지 흑자는 131억6000만 달러로, 전월(106억6000만 달러)보다 25억 달러 늘었다. 이는 2017년 9월(145억2000만 달러), 2016년 3월(133억2000만 달러)에 이은 세 번째 규모다.
수출은 603억7000만 달러로, 반도체를 포함한 정보기술(IT) 품목과 의약품 등 비(非)IT 품목의 선전 속에 전년 동월 대비 2.3% 증가했다. 품목별로는 컴퓨터주변기기(13.6%), 반도체(11.3%), 의약품(51.8%)이 상승세를 견인했다.
반면, 철강제품(-2.8%), 석유제품(-0.9%), 승용차(-0.3%)는 감소세를 보였다. 특히 자동차는 미국 내 관세 부담이 일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신승철 한국은행 경제통계1국장은 “반도체 수출은 관세 인상 이전의 선(先)수요와 고사양 제품인 DDR5·HBM 등의 글로벌 수요 확대로 인해 증가한 것”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