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민감주 약세, 기술주 강세

연합뉴스 제공.
연합뉴스 제공.

미국의 소비자심리지수가 예상에 못 미치자 경기민감 업종이 흔들렸지만, 금리 인하 기대가 이어지며 기술주는 강세를 지속했다.

12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0.59%(273.78p) 하락한 4만5834.22로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지수는 0.05%(3.18p) 내린 6584.29, 나스닥종합지수는 0.44%(98.03p) 오른 2만2141.10으로 거래를 끝냈다. 

장 초반에는 전날(8월 CPI) 결과를 소화하며 숨 고르기를 보였지만, 미시간대학교 9월 소비자심리지수 예비치가 55.4로 집계되며 투자심리가 위축됐다.

조앤 슈 미시간대학교 디렉터는 “저소득·중산층의 부정적 시각이 확대됐다”며 “경기·고용·물가 전반의 취약점을 지적하는 응답이 이어졌다”고 했다.

이에 경기 변화에 민감한 종목들이 약세를 보였다. 다우 구성 종목 가운데 비자, IBM, 세일스포스, 아메리칸익스프레스, 머크, 암젠 등이 2% 안팎으로 밀렸다. 코메리카은행 빌 애덤스 수석이코노미스트는 “연말 쇼핑 시즌까지 시간이 남았지만 현재로선 소비재 업황이 실망스럽다”고 평가했다.

반면 기술주는 강세를 이어갔다. 시가총액 1조달러 이상 ‘빅테크’는 아마존을 제외하고 대부분 상승했다. 테슬라는 전날 6% 급등에 이어 이날도 7.36% 뛰었다.

휴머노이드 로봇·인공지능(AI) 사업 비중 확대 기대가 주가를 지지했다는 해석이 나왔다. 업종별로는 기술·통신서비스·유틸리티·임의소비재가 올랐고, 헬스케어는 1.13% 내렸다.

개별 이슈도 주가를 흔들었다. 워너브로스디스커버리는 전날 29% 급등에 이어 16%대 추가 상승했다.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의 인수 추진설이 매수세를 자극했다. 인수 주체로 거론된 파라마운트 스카이댄스 역시 7.62% 상승했다.

반면 오라클은 단기 급등 이후 이틀 연속 약세를 보이며 5.09% 하락, 시가총액이 8300억 달러 수준으로 내려왔다. 마이크론테크놀러지는 AI 수요 기대를 바탕으로 4%대 상승하며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금리 기대는 다소 후퇴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12월까지 기준금리 75bp 인하 가능성은 75.7%로 반영됐다. 변동성 지수(VIX)는 14.76을 가리켰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키워드

Tags #금융 #경제 #뉴욕증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