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 해에만 23건…전년 대비 3배 급증
배임·횡령·사기·강제추행까지…한전의 3배
김동아 "뼈를 깎는 자구 노력으로 국민 신뢰 회복해야"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본사. 연합뉴스. 
한국수력원자력 경주 본사. 연합뉴스. 

한국수력원자력(이하 한수원)의 임직원 비위가 최근 3년간 39건에 달하며, 공기업 중에서도 유독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올해 상반기에만 9건이 발생해 조직 기강 붕괴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동아 의원(더불어민주당, 서대문갑)이 한수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3년 한국수력원자력 임직원 형사입건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22년부터 2024년까지 형사입건 건수는 총 39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같은 기간 임직원 규모가 두 배에 달하는 한국전력의 형사입건 12건보다 3배 이상 많은 수치다.

특히 2024년 한 해 형사입건은 23건으로, 2023년 대비 3배 이상 급증했다. 유형별로 보면 2023년에는 배임·횡령 관련이 4건으로 가장 많았고, 2024년에는 배임·횡령 5건, 사기·사기방조 5건으로 최다 유형을 기록했다.

최근 3년 한국수력원자력 임직원 형사입건 현황(단위 건수). 자료 한국수력원자력. 김동아 의원실.
최근 3년 한국수력원자력 임직원 형사입건 현황(단위 건수). 자료 한국수력원자력. 김동아 의원실.

비위의 내용을 살펴보면 2023년에는 임직원 해임이 3건에 이르렀는데, 사전자기록위작을 통한 시간외근무수당 부정 수령, 해외근무자 복무규정 위반, 특수폭행 등이 주요 사유였다. 올해 상반기에는 강제추행 5건, 배임·횡령 2건, 사기·사기방조와 음주운전이 각각 1건으로 드러났다.

이처럼 내부 통제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가운데, 최근 웨스팅하우스의 체코 원전 수출 논란과 바라카 원전 관련 문제까지 더해지며 한수원의 도덕적 해이에 대한 국민 불신이 커지고 있다.

김동아 의원은 “임직원들의 도덕적 해이가 체코 원전 수출이나 바라카 원전 문제 등 대형 사건·사고의 근본 원인이 되는 것 아니냐”고 지적하며, “한수원은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뼈를 깎는 자구 노력으로 국민의 신뢰를 회복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