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71.5% → 2024년 25.8%로 증가율 급락
2025년 상반기 누적 78만 대…매년 68만 대 추가 보급해야 목표 달성
위성곤 "기후·국토·산업·행안부 전 부처 협력해 전환 가속해야"
국내 전기차 보급 속도가 눈에 띄게 둔화되면서, 수송부문의 2030년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에 ‘빨간불’이 켜졌다. 정부의 탄소중립 정책 핵심 축인 전기차 전환이 목표 궤도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 서귀포시·국회 기후위기특별위원장)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 기준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77만4,878대로 집계됐다.
이는 2030년까지 누적 420만 대를 보급한다는 제1차 국가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 대비 현저히 낮은 수준이다. 계획대로라면 2026년부터 매년 약 68만 대의 전기차가 새로 보급돼야 목표를 달성할 수 있지만, 현재 추세로는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평가다.
전기차 보급은 2020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했지만, 증가율은 매년 가파르게 둔화됐다.
2021년 전기차 누적 등록 대수는 13만 대에서 23만 대로 늘며 71.5% 증가했지만, 2022년에는 68.4%(23만→39만 대), 2023년 39.5%(39만→54만 대), 2024년에는 25.8%(54만→68만 대)로 증가폭이 급격히 줄었다. 전기차 전환이 수송부문 NDC 달성의 핵심 정책임에도 속도 저하가 뚜렷한 것이다.
지역별로 보면, 전기차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제주로 전체 차량의 7.48%를 차지했다. 인천(3.98%)과 부산(3.13%)이 뒤를 이었고, 반대로 울산(1.82%), 광주(2.35%), 경북(2.49%)은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렀다.
2024년 전년 대비 증가율은 인천이 34.7%로 가장 높았고, 경기(33.1%), 전남(29.8%)이 그 뒤를 이었다. 반면 서울(15.0%), 강원(15.2%), 대구(15.8%)는 전국 평균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특히 인천과 서울의 증가율 격차는 2배 이상 벌어졌다.
위성곤 의원은 “전기차 보급은 수송부문 2030 NDC 달성을 위한 필수 정책임에도, 현재 속도라면 목표 달성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며 “수송 수단의 특성상 전기차 보급은 교통 정책과 산업 정책, 그리고 지자체의 정책 의지가 결합되어야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R&D 예산 축소 후폭풍…회생 위해 퇴직연금 깬 과학기술인 3배 급증
- 철강 '빅2' 올해 대미 관세 4000억원…"2분기 영업이익 다 날릴 판"
- 무역구제 반덤핑제도, 대기업만의 제도 전락…"중소기업은 문턱조차 못 넘어"
- 기초연금 깎인 노인 70만명…"국민연금 오래 낼수록 불이익"
- 조부모→손주 '세대생략 증여' 5년간 3조8300억...이중과세 회피 목적
- 수은, 한계기업 141곳에 4조 가까이 대출…연체율 반등 '경고등'
- 가스기술공사, 미사용 휴가 4만 일…38억 부채로 재정 '비상'
- 민주당·한국노총, "정의로운 산업·노동전환" 논의…기후위기 시대 고용안정 해법 모색
- 코트라, 감사원 지적 8개월째 '미이행'…오사카 엑스포 설계용역 특혜 논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