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년 새 1654개 점포 사라져...강남 쏠림·서민지역 공동화 심화
허영 "91조 순이익에도 금융공공성 외면…금융당국 관리 강화해야"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 사진 페이스북.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 사진 페이스북. 

최근 5년 6개월 동안 국내 은행·보험·증권 점포의 4곳 중 1곳이 문을 닫으며, 금융 접근권 붕괴가 심각한 수준에 이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울 내 은행지점 3곳 중 1곳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에 집중되며, 중·저소득 지역의 ‘금융공동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허영 의원이 금융감독원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6월까지 4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은 전체 2,688개 지점 중 937곳을 폐쇄해 26%가 줄었다. 같은 기간 5대 생명보험사는 1,959개 중 484곳(20%), 9대 증권사는 407개 중 233곳(36%)이 사라졌다. 전체 금융지점의 감소율은 25%에 달했다.

은행연합회가 2021년 ‘점포폐쇄 공동절차’를 강화했음에도 폐점 추세는 이어졌다. 2023년 국정감사 이후 일시적으로 감소했지만, 2025년 9월 기준 다시 103곳이 폐쇄되며 재확산 조짐을 보였다. 특히 최근 5년간 폐쇄된 전국 937개 은행지점 중 67%인 629곳이 서울·경기 지역에 집중됐다.

2020년~2025년 6월 금융회사 지점 폐쇄 현황. 자료 금융감독원. 허영 의원실. 
2020년~2025년 6월 금융회사 지점 폐쇄 현황. 자료 금융감독원. 허영 의원실. 

수도권 내에서도 양극화가 뚜렷했다. 서울의 은행지점 1,045곳 중 329곳(31.5%)이 강남 3구에 몰려 있었고, 중·저소득 지역은 점포 축소로 금융서비스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졌다. 고령층이나 금융취약계층을 고려한 ‘점포폐쇄 영향평가 제도’가 도입됐지만, 실질적인 개선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평가된다.

허영 의원은 “지난 5년간 은행권이 91조 원의 순이익을 거두고도 금융공공성을 외면하고 있다”며 “금융권은 단순한 경영 효율화보다 지역·계층을 아우르는 포용적 금융체계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은행연합회의 공동절차가 형식에 그치고 있다”며 “금융당국은 관리·감독을 강화하고, 점포폐쇄가 금융소비자의 기본 접근권을 침해하지 않도록 제도 개선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