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10%가 전체 소득 절반 차지…수입 양극화 심화
차규근 의원 "후원금 과세 사각지대 해소 위한 제도 정비 시급"

AI 이미지. ⓒ스트레이트뉴스
AI 이미지. ⓒ스트레이트뉴스

1인 미디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상위 유튜버들의 소득이 폭발적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조국혁신당 차규근 의원(기획재정위원회)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3년 기준 1인 미디어 창작자 상위 0.1%의 연평균 수입은 약 50억 원에 육박하며, 3년 새 2.5배 이상 급증한 것으로 집계됐다.

자료에 따르면 상위 0.1% 그룹의 1인당 평균 수입은 2020년 19.2억 원에서 2023년 49.3억 원으로 크게 증가했다. 같은 기간 신고 인원 역시 9명에서 24명으로 늘어나 시장 내 고수익 창작자의 확산 추세가 확인됐다. 

상위 1%와 10% 그룹의 수입도 함께 증가해 상위 1%는 2020년 8.5억 원에서 2023년 13.3억 원으로, 상위 10%는 2.8억 원에서 3.6억 원으로 각각 상승했다. 신고 인원 역시 상위 1%는 94명에서 246명으로, 상위 10%는 941명에서 2,467명으로 약 2.6배 증가했다.

소득 쏠림 현상은 더욱 뚜렷해졌다. 2023년 전체 1인 미디어 창작자 총수입 1조17778억 원 중 상위 10%가 벌어들인 금액은 8963억 원으로 전체의 50.4%를 차지했다. 시장 전체 수입의 절반 이상이 상위 10%에게 집중된 셈이다.

차규근 의원은 "1인 미디어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지만 개인 계좌를 통한 후원금 등은 과세 기반이 여전히 미비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후원금 수취 계좌를 관할 세무서에 신고하고 공개된 계좌만 사용하도록 하는 소득세법 개정안을 발의했다"며 "시장 규모에 맞는 투명한 과세 체계 마련을 위해 조속한 입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