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 “광주, 공약 국정 반영과 골목 상권 회복이란 두 날개를 펴고 도약”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광주시가 '대선공약 서울상황실'과 '골목경제 상황실'이라는 '양날개 상황실'을 본격 가동하며, 이재명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지역 발전과 민생 경제 회복에 박차를 가한다.
광주시는 16일 시청 중회의실에서 강기정 시장 주재로 실·국장과 공공기관장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선공약 국정과제 전담팀(TF) 회의'를 열어 새 정부 국정 과제 반영 전략을 점검하고 '대선공약 서울상황실'과 '골목경제 상황실'을 본격 가동한다고 밝혔다.
이는 대선 공약의 국정 과제화 및 지역 경제 활성화를 위한 선제적인 대응으로 풀이된다.
'대선공약 서울상황실'은 광주의 7대 지역 공약을 포함한 핵심 현안을 중심으로 대통령실, 국정기획위원회, 중앙부처 등과 실시간 정책 협의를 진행하는 전진기지 역할을 수행한다.
광주시는 국정 과제 수립 초기부터 적극적인 대응 체계를 통해 광주 현안이 정부 국정 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광주시 7대 공약은 ▲AI 국가시범도시 조성 추진 ▲민‧군 통합 서남권 관문공항 조성 적극 추진 ▲대한민국 대표 모빌리티도시 조성 ▲아시아문화중심도시 3.0시대 선언 ▲영산강‧광주천 수변 활력도시 조성사업 적극 추진 ▲국가 초고자기장 연구인프라 구축 ▲서남권 메가시티 조성 등이다.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골목경제 상황실'은 소비 진작, 소상공인 보호 및 지역 상권 활성화를 위한 현장 밀착형 정책 논의에 주력한다.
오는 18일 첫 회의를 열어 공공기관과 지역 상권 간 매칭 사업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20일에는 공공 배달 앱 활성화 방안을 논의하는 간담회를 통해 실질적인 소비 촉진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광주시는 지역 산업과 특성을 살려 대담하고 선제적인 국정 과제 신규 제안도 추진한다.
새로운 정부에서 보다 속도감 있게 인공지능(AI) 정책을 추진할 수 있도록 '인공지능(AI)부(가칭)' 신설을 제안하고, 국가인공지능(AI)산업혁신진흥원 설립 및 특별회계 운영 등을 담은 '인공지능(AI) 국가 시범 도시 조성 특별법(가칭)' 제정도 요청할 계획이다.
더불어 민주·인권·평화의 도시 광주로 헌법재판소 및 대법원 등 '사법 기관의 지방 이전'를 제안하고 골목 경제 정책의 지속가능성을 위해 광주시 산하에 골목 상권 전담 조직 신설 방안도 검토 중이다.
강기정 시장은 "이재명 정부가 비상 경제 점검 TF를 구성하고 국정기획위원회를 출범하는 등 숨 가쁘게 달리고 있다"며 "광주시의 '골목경제 상황실'과 '대선공약 서울상황실' 운영은 소상공인과 광주의 목소리를 키워줄 것이다. 이재명 정부에서 광주 미래를 위한 공약의 국정 과제 반영과 골목 상권 회복이라는 두 날개를 펴고 광주가 날아오를 수 있도록 모두 함께 해달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 광주시, 여름철 환경오염 특별감시 실시…집중호우 대비
- 광주시 민간위탁 사업, '총체적 부실 운영' 도마 위
- 광주시, 4807억 규모 추경 편성…민생경제·미래투자 '핀셋 지원'
- 안도걸 의원, 원화 기반 스테이블코인 특별법 제정 추진
- 광주시의회, 반부패 청렴 교육 및 서약식 개최
- 광주시, '빛고을 50+일자리 사업' 발대식…'장년층 사회 활력 기대'
- 강진 쌀귀리·쌀보리, 대형 유통업체로부터 '품질' 극찬...판로 확대 '청신호'
- 광주 북구, 청년·노인 대상 '사회주택' 조성…주거 안정 도모
- 광주시, 시내버스 파업 장기화 '임차버스' 42대 긴급 투입
- 광주시, '정부혁신 멘토링' 개최…전국에 혁신행정 노하우 전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