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시장이 28일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에서 고상연 원장 등 내빈들과 '광주 RE100 추진본부'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광주시
강기정 시장이 28일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에서 고상연 원장 등 내빈들과 '광주 RE100 추진본부' 현판 제막을 하고 있다./광주시

[스트레이트뉴스 광주=문종천 기자] 광주 소재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을 전량 재생에너지로 전환하려는 RE100 컨트롤 타워가 공식 출범했다.

광주시는 28일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에서 '광주RE100 추진본부 현판 제막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날 제막식에는 강기정 시장을 비롯해 박필순 시의원, 고상연 한국기후에너지진흥원장, 김승남 광주도시공사장, 김성진 미래차모빌리티진흥원장, 장승찬 한국에너지공단 지역본부장 등 관련 기관·기업 관계자 50여 명이 참석했다.

광주시,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 광주도시공사 등이 참여한 추진본부는 광주기후에너지진흥원에 둥지를 틀고 'RE100 도시 광주' 실현의 컨트롤타워 및 실행을 맡는다.

주요 업무는 정부 RE100 산단 조성 추진, 영농형 태양광 연계 RE100 기업 지원, 분산 특구 지정, ▲공공 주도 도심형 태양광 확산 등을 담당한다.

광주는 전남 지역에서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전력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정부에서 구상하고 있는 RE100 산단 조성의 최적지로 주목받고 있다.

시는 제막식과 함께 'RE100 예비기업 선언식'도 개최했다.

선언식에는 산업통상자원부의 'RE100 전 주기 공정 지원 기술 개발 및 실증 사업'에 참여 중인 지역 기업 10곳이 RE100 전환을 공식화했다.

이들 기업은 태양광 2.5㎿와 풍력 105㎾를 활용해 2026년 말까지 1곳은 RE100을, 나머지 9곳은 RE30을 달성할 계획이다.

또한 이날 열린 '광주RE100 세미나'에서는 ‘광주 재생에너지 확산 방안’과 '새 정부의 RE100 정책 및 대응 전략’ 등이 공유됐다.

광주시는 RE100 전 주기 공정 지원 기술 개발 및 실증, 첨단산단 에너지 자급자족 인프라 구축 사업 등 RE100 달성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으며, 현재 태양광 발전 보급률이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1위이다.

강기정 시장은 AI, 모빌리티, RE100은 미래먹거리이고 대한민국의 산업지도를 새롭게 그릴 기회라며 ‘광주형 RE100 정책 모델’을 기반으로 '지속 가능한 에너지 도시'로의 전환을 가속화할 계획임을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