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규제 합리화 전략회의' 직접 주재
"전과자 양산하는 불합리한 법, 과징금 제재 전환"
"AI·자율주행·바이오헬스 미래산업 규제 해소"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기업 활동을 옥죄는 '처벌 위주 법체계' 개선 의지를 적극 피력했다. 이 대통령은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 규제 합리화 전략회의'를 직접 주재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통령실 비서실장과 정책실장을 비롯해 기업 대표, 학계 전문가, 관계부처 장·차관 등 60여 명이 참석했다.


◇ 투자 실패→배임죄→감옥..."형사처벌 완화 필요"


이 대통령은 한국 기업인들이 처한 현실을 예로 들며 '형사처벌 완화'와 '경제적 제재 강화'를 해법으로 제시했다. 그는 "대한민국은 지나치게 처벌 중심적이며 불합리하고 쓸데없는 규제도 꽤 있다"며 "이번에 대대적으로 고쳐볼 생각"이라고 말했다.

이어 "기업인이 한국에서는 투자 결정을 잘못하면 배임죄로 감옥에 갈 수 있다고 얘기들을 한다"며 "(외국 기업인들에게는) 상상도 못 한 일"이라고 지적했다.

또 "판단과 결정을 자유롭게 하는 것이 기업의 속성인데, 이러면 위험해서 어떻게 사업을 하느냐"고 꼬집었다. 투자 실패가 곧 형사처벌로 이어지는 현재 법체계가 기업인들의 도전을 가로막고 있다는 풀이다.

아울러 "산업재해 사고를 봐도 몇 년씩 재판을 끌다가 실무자들만 잠깐 구속됐다가 석방된다. 효과는 별로 없는데 엄청난 국가 에너지가 소비된다"며 "최근 미국 등 선진국은 엄청난 과징금을 부과한다. 사회적 비용도 줄이고 기업에도 훨씬 큰일"이라고 강조했다.


◇ "전과자 양산하는 불합리한 법, 과감히 걷어내야"


이 대통령은 불필요한 경미범죄 처벌 규정도 문제 삼았다. 그는 "얼마 전 미국에서 한국 사람들 비자심사나 출입국 심사할 때 전과 기록을 내라고 요구했다"며 "민방위기본법, 예비군설치법, 산림법 등에서 벌금 5만∼10만원을 내고도 평생 기록이 남는다. 외국에서 보면 엄청난 범죄자로 오해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지금까지 우리가 해온 방식이 지나치게 처벌 중심"이라며 "기업에서 사고가 나면 수사하고 처벌하는데, 이 과정에서 사회적 비용만 커지고 실효성은 떨어진다. 불합리하고 쓸데없는 규제는 과감히 걷어내겠다"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참석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재명 대통령이 15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제1차 핵심규제 합리화 전략회의에서 참석자의 발언을 듣고 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은 규제개혁 추진력 확보에도 자신감을 보였다. "정부가 마음에 안 드는 분도 있겠지만, 입법부와 행정부가 제대로 판단하고 집행할 수 있는 최적의 상황을 갖췄다"며 "거미줄처럼 얽혀 있는 규제를 확 걷어내자는 게 정부 목표"라고 거듭 강조했다.


"코스피 사상 최고치, 정부 지원 정책 마련 고민"


이날 회의에서는 △인공지능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데이터 활용 규제 합리화 △자율주행차와 로봇산업 규제 완화 △바이오헬스 신산업 성장 지원 방안 등이 의제로 다뤄졌다.

이 대통령은 "앞으로도 제가 직접 규제개혁 회의를 몇 차례 주재하고 필요하면 법제화까지 하겠다"며 "세계 각국이 AI, 모빌리티, 바이오헬스 등 미래 산업 주도권을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는 만큼, 낡은 규제를 신속히 혁신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코스피가 사상 처음 3400선을 돌파한 것과 관련해 "기업인들의 노력이 현장에서 빛을 발하고 있는 것"이라며 "정부도 기업인을 위한 지원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고 기업인들을 격려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