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일영 의뢰 리얼미터 '경제 우선과제' 여론조사
40대·70대는 물가, 20·30대는 주거가 1순위
청년층은 주거 고비용과 자산 형성의 어려움에, 고령층은 물가 상승에 따른 생계 압박에 직면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경제적 고통의 지점이 정반대 방향으로 갈라지고 있음에도 정부의 대응은 여전히 획일적이라는 지적이 제기됐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정일영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 연수을)은 30일 의원실이 리얼미터에 의뢰해 실시한 전국 만 18세 이상 1002명 대상 ‘세대별 경제·주거 인식 조사’ 결과를 공개했다.
조사 결과 국민이 꼽은 최우선 경제정책 과제는 전체적으로 ‘물가 안정’이었다. 특히 40대 37.7%, 70세 이상 40.3%가 물가 안정을 가장 시급한 과제로 응답했다. 정 의원은 “물가 불안은 정년퇴직자·고정소득자·자영업자에게 곧 생계 위협으로 직결된다”며 “단순 금리 조정보다 소득·복지·세제 정책이 결합된 생활물가 안정 대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반면 18~29세 33.5%, 30대 33.4%, 서울 거주자 41.9%는 ‘주거 안정’을 최우선 과제로 꼽았다. 사무·관리·전문직 32.8%, 학생 32.9%도 같은 선택을 했다. 정 의원은 “청년은 자산 형성의 출발점부터 막혀 있다”며 “주거 사다리가 무너지면 소비 회복도, 결혼과 출산 정책도 의미 없다”고 지적했다.
집값 전망에서도 세대 간 인식 차이는 두드러졌다. 18~29세 53.4%, 30대 53.0%가 ‘집값이 오른다’고 답했으며, ‘내릴 것’이라고 본 응답은 22.2%에 그쳤다. 서울 거주자는 62.4%가 집값 상승을 예상했다.
정 의원은 “청년층이 ‘집값은 절대 안 떨어진다’고 느끼는 것은 정부 정책 신뢰가 붕괴했다는 신호”라며 “실수요자 중심 시장 구조와 지방 일자리 분산 정책을 정밀하게 설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수도권과 지방 간 주택 격차를 ‘심각하다’고 응답한 비율은 87.8%였으며, 이 중 ‘매우 심각하다’가 70.3%를 차지했다. 해결 방안으로는 지방 일자리 확충 28.9%, 부동산 투기 억제 및 세금 강화 25.6%, 수도권 주택 공급 확대 17.6%, 청년·서민 주거 지원 15.5% 순으로 나타났다.
정 의원은 “이번 조사는 한쪽 세대는 생계불안, 다른 한쪽은 자산 절망으로 고립된 현실을 보여준다”며 “이제는 금리·물가 등 거시지표 중심 대응이 아니라 세대별 소득·주거·복지를 동시에 고려한 구조적 개혁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조사는 10월 23~24일 유·무선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p다. 자세한 내용은 리얼미터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국감2025] 노동자·유족 '기다림의 고통'...산재보험 재심사 10건 중 9건 기한 넘겨
- [국감2025] 국민연금 책임투자 위탁자산 97%...'ESG 워싱' 지적
- [국감2025] 야간노동 산재사망, 가장 많은 직종은 운전·배달
- [국감2025] 안도걸 "3분기 1.2% 성장, 기업투자가 이끌어"
- [국감2025] '빚의 악순환' 심화...은퇴자·생계부양층 재파산 급증
- [국감2025] '런베뮤' 사망 사건 책임론 확산...정치권 질타 쏟아져
- [국감2025] 尹정부 R&D 예산 삭감에 매몰비용 3560억…기초·신진 연구자 직격탄
- [국감2025] 단기 국채 시장 사실상 부재…안도걸 "국고채 1년물 도입해야"
- [국감2025] 한미 원전협력 속 한국 SMR 발목…낡은 규제에 '골든타임' 위기
- [스트레이트뉴스 여론조사] 대장동 항소 포기 '부적절' 56.2%…여론 싸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