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상을 초월하는 이상기후 현상이 나타나고 있는 요즈음 전문가들은 최근의 열돔현상이 지구적 차원의 문제이며 지구온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가장 큰 원인이라고 보고 있다. 특히 올해는 우리나라에도 기록적 폭염이 지속되며 열사병 등 온열 질환 환자가 급증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최근 탄소배출권과 4차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blockchain)의 연계를 모색하는 다양한 움직임이 일고 있어 이목이 집중되고 있다.

◆ 탄소배출권이란?  

글로벌 에너지기업 BP가 최근 발표한 '세계 에너지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이산화탄소(CO2) 배출량은 지난해 총 6억 7천970만t으로 지난해 대비 2.2% 증가했다. 이산화탄소와 온실효과에 대한 상관관계에 의문을 던지는 일부 시각도 여전히 존재하지만 전세계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투자 및 기술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런 움직임 가운데 하나가 '탄소상쇄(Carbon Offset)'라는 개념이다. 탄소 상쇄란 일상생활 및 경제활동에서 배출될 수밖에 없는 이산화탄소 등 온실 가스 배출량을 절감하기 위한 노력과 온실가스 저감 활동에 투자하는 모든 활동으로 정의된다.

 
가령 산림 등 녹화 계획으로 이산화탄소 흡수를 촉진하고 배출량을 상쇄하는 방법. 혹은 대규모 재생 에너지 이용 및 고효율 에너지 절약 기계 도입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완전한 상쇄가 어려운 경우 그 차이를 메우는 방안으로 배출 온실가스 상쇄분을 매입하는 '탄소배출권(CERs; Certified Emission Reductions)' 제도가 있다.

탄소배출권은 지구온난화를 유발하고 가속화시키는 온실가스(1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다. 간단히 말해 온실가스를 최소한으로 배출하는 사람(국가)의 잉여분을 배출량이 큰 사람이 매입하는 것이다. 거래량 단위가 크기 때문에 현재 탄소배출권은 국가 혹은 기업에 의해 거래소 및 장외거래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 탄소배출권과 블록체인 접목 움직임 활발    

탄소상쇄 개념이 발표된 지 10년이 지났지만 업계는 이를 위한 마땅한 신용거래 방안을 찾지 못해 고심해왔다. 1회 거래량 단위가 큰 탄소배출권 거래를 위해서는 거래소, 구매자와 판매자를 연계하는 중개인, 거래원장 작성 및 보관과 같은 업무를 할 많은 인력과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업계 전문가들은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블록체인 기술이라면 탄소배출 거래에 필요한 비용과 과정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블록체인은 오픈 장부에 거래 내역을 투명하게 기록하고 여러대의 컴퓨터에 복제해 저장하는 분산형 데이터 저장기술이다.

지난 5월 환경 핀테크 업체 베리디움랩(Veridium Labs) 재단은 IBM과 제휴해 블록체인 기반으로 탄소배출권을 토큰화하는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발표했다. 해당 토큰은 스타트업 스텔라(Stellar)의 분산 오픈소스 블록체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며 올해 하반기 출시될 예정이다.

또 비영리단체 포세이돈 재단(Poseidon Foundation)은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해 소비자의 탄소 배출량을 추적해 기후 영향을 상쇄시키는 플랫폼을 내년 8월 공식 개시할 예정이다. 매장 POS 단계에서 일정 부분을 탄소 배출권 구매에 사용해 탄소 배출량의 환경 영향을 실질적으로 줄일 수 있다.

포세이돈은 최근 미국 아이스크림 기업 벤앤제리(Ben & Jerry’s)와 기업의 환경 영향 관련 프로젝트도 성공리에 마쳤다. 당시 벤앤제리스 아이스크림 한 국자마다 1페니씩 스텔라 블록체인 거래소에서 거래되는 탄소 배출권 구매에 사용하는 방식을 선보였다. 

지난 19일(현지시간)에는 영국 리버플市와 포세이돈이 블록체인 기반의 기후관련 플랫폼 구축을 위한 계약을 체결했다. 리버플시의회(Liverpool City Council)와 재단은 2030년을 목표로 개인과 기업 활동으로 인한 기후 영향을 40% 절감한다는 목표를 밝혔다.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 노력이 필요하다는 사실은 모두가 공감하지만 현실적 한계점과 절차상의 번잡함으로 많은 사람들이 이를 외면해왔다. 하지만 블록체인 도입으로 '탄소코인'과 같은 새로운 시스템이 등장하고 그 과정이 쉬워진다면 온실가스 감축 사업에 절대적으로 필요한 탄소배출권의 저변이 확산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탄소배출과 블록체인 기술의 연계를 위한 시도가 이어지는 가운데 블록체인이 극심한 온난화에 제동을 걸어줄 대안이 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