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로드컴 시총 1조 달러 첫 돌파
미국에서 경제 지표가 혼조세로 거래를 마쳤다. 미국 브로드컴은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사상 처음으로 시가총액이 1조달러를 돌파했고 반도체 지수도 급등했다.
13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에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0.00%(0.16포인트) 하락한 6051.09로 보합세를 기록했으며,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종합지수는 0.12%(23.88포인트) 오른 1만9926.72로 장을 마쳤다. 반면,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0.20%(86.06포인트) 하락한 4만3828.06에 마감했다.
브로드컴은 이날 장 중 주가가 24% 이상 급등하면서 시가총액이 사상 처음으로 1조 달러를 돌파했다. 4분기(회계연도 기준)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1% 올랐기 때문이다. 주당순이익(EPS)도 1.42달러로 시장예상치(1.38달러)를 상회했다. 특히 인공지능(AI) 부문 연간 매출이 전년 대비 220% 오른 122억 달러로 집계됐다.
브로드컴 강세에 반도체주들이 랠리에 동참하며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도 3% 넘게 급등했다. 엔비디아와 AMD는 2% 넘게 하락했으나 TSMC는 4% 이상 올랐다. 마이크론테크놀로지도 4% 이상 상승했다. 마블테크놀로지는 10% 넘게 급등했다.
제이 해트필드 인프라스트럭쳐캐피털어드바이저스 최고경영자(CEO)는 “주식흐름이 박스권에 갇혀 있다”며 “나스닥은 시장 수익률 상회, 소형주는 하회, 다우는 촉매제가 생길 때까지 하회할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조 테라노바 버투스인베스트먼트 파트너스 수석 시장전략가는 “이제 투자자들은 시장 전체 상승을 기대하기보다 특정 업종에 집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미국 노동통계국(BLS)에 따르면, 11월 기준 생산자물가지수(PPI)는 전월 대비 0.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올해 2월 이후 가장 높은 연간 상승률이다.
다만 월가에선 연방준비제도가 12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것으로 여전히 예상하고 있다.
오렌 클라치킨 네이션와이드 금융시장 경제학자는 CNN과의 인터뷰에서 “생산자물가와 더 넓은 인플레이션 지표는 연준의 목표를 향해 길고 험난한 여정을 걷고 있다”고 평가했다. 클라치킨은 “이날 발표된 PPI가 다음 주 연준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며 또 한 번의 0.25%포인트 금리 인하를 예상한다”고 덧붙였다.
[스트레이트뉴스 조성진 기자]
관련기사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상승 마감…반도체·AI 주도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상승 마감..트럼프 수혜주는?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약세 마감..추가 금리 인하 불투명
- 트럼프 2.0 시대..코스피, 쓰나미 닥치나
- FOMC 금리 인하에도 다우 추락..서학개미 ‘비명’
- 12월 FOMC D+1..흔들리는 코스피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상승.. 인플레이션 우려 줄어
- [지난밤 뉴욕에선] 3대 지수 하락 마감..월가, 기술주 매도
- [지난밤 뉴욕에선] 2024년 마지막 뉴욕증시, 하락 마감
- 3월 생산자물가지수, 2개월 연속 보합세
- 4월 생산자물가 하락..반년 만에 꺾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