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금주, '한국김산업진흥공사 설립' 정책 토론회 개최
김 산업의 구조적 문제 해결, 글로벌 경쟁력 강화 논의

한국 김산업의 미래발전 방안 토론회. 17일 국회의원회관. 문금주 의원실. 
한국 김산업의 미래발전 방안 토론회. 17일 국회의원회관. 문금주 의원실. 

김 산업의 오랜 숙원이었던 한국김산업진흥(유통)공사' 설립이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전남 고흥·보성·장흥·강진)은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한국 김산업의 미래발전 방안 토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번 토론회는 K-푸드의 대표 주자로 떠오른 김 산업이 마주한 가격 불안정, 불투명한 유통 구조, 생산자 소득 불균형과 같은 고질적인 문제들을 해결하고, 국가 전략 산업으로 한 단계 더 도약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문 의원은 개회사를 통해 "김은 이제 단순한 수산물을 넘어 대한민국의 위상을 높이는 중요한 국가 전략 수출품"이라며, "산업의 구조적 문제를 해결하고 국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공사 설립과 같은 제도적 기반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전문가들의 심도 있는 진단과 제언이 이어졌다. 발제를 맡은 김종익 한국김산업개발 이사장은 "김 산업 생태계를 강화하고 김을 국가 대표 브랜드로 육성하기 위해서는 산업 전반을 아우르는 국가 차원의 컨트롤타워가 필수적"이라며 공사 설립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이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 김산업의 미래발전 방안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의원실. 
더불어민주당 문금주 의원이 17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한국 김산업의 미래발전 방안 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의원실. 

이승환 한국김육묘 대표 역시 "김은 수산물 수출 1위 품목으로 지역 경제와 고용 창출에 크게 기여하고 있지만, 민간의 역량만으로는 성장에 한계가 있다"며 "공공적 관리 기능을 갖춘 전문기관의 역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이어진 패널 토론에서는 해양수산부, 학계, 산업계 대표들이 참여해 열띤 논의를 벌였다. 토론자들은 "김 산업이 급성장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유통 구조의 불균형과 가격 변동성 등 내재적 한계로 인해 지속 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다"며 국가 차원의 체계적인 지원과 정책 조정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문 의원은 "오늘 토론회에서 나온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여 실효성 있는 법과 제도를 개선하고, '한국김산업진흥공사' 설립 논의를 본격화하겠다"며, "김 산업을 국가 핵심 전략 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스트레이트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