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G3 강국을 위한 신기술 전략 조찬포럼' 국회 개최
이영탁 SKT 부사장, 해외 사례 언급 "과감한 처우개선 우선"
'국가 AI 혁신연구원' 설립 논의...5년 내 1000명 확보 목표
"해외 대학처럼 우수 인재 한 명을 모시기 위해 배우자와 자녀까지 고려한 '패키지 채용'이 필요하다."
이영탁 SK텔레콤 부사장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시즌2) AI G3 강국을 위한 신기술 전략 조찬포럼'에서 이같이 말했다. 국내 인공지능(AI) 인재 유치를 위해서는 과감한 처우 개선이 우선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 부사장은 특히 홍콩과학기술대학 사례를 들며 "홍콩과기대는 석학 한 명을 영입하기 위해 배우자의 직업, 자녀 유무까지 조사하고, 고급 주거지 제공이나 수백만 원 규모의 주거비를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은 정교수 연봉이 1억 원도 안 되는 경우가 많지만, 미국 상위권 대학은 신입 조교수에게도 2억 원 이상을 지급한다"며, "이 같은 처우 격차가 우수 인재의 해외 유출을 초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세계적 연구자를 영입하려면 그에 걸맞은 '파격적 조건'을 제시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포럼은 더불어민주당 정동영 의원과 국민의힘 최형두 의원이 공동 주최하고, 정보통신산업진흥원(NIPA)이 주관했다. 네이버, 두산로보틱스, 삼성글로벌리서치,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현대자동차, SK하이닉스 등 주요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포럼에서는 AI 인재 유출 심화와 산업계 수요에 대응하기 위한 '국가 AI 혁신연구원' 설립 등 다양한 정책 방안이 논의됐다. 참석자들은 "AI 인재는 미래의 핵심 자산이며, 이제는 단순한 처우 개선을 넘어 인재 가족까지 고려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김영오 서울대 학장은 산업 AI 인재 양성 방안으로 △산업 맞춤형 교육과정 △상위 1% 이공계 학생 선발 육성 △'국가 AI 혁신연구원' 설립 등을 제안했다. 해당 연구원은 전임 연구원에게 초봉 5억~10억 원, 주택 제공 등의 조건을 제시하고, 5년 내 1,000명 규모로 확장하는 것이 목표다.
정동영 의원은 "AI 인재 순유출이 OECD 38개국 중 35위라는 점은 국가 경쟁력의 위기"라며, "인재가 머물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또한 "국내 기업 10곳 중 8곳이 AI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 AI 활용률은 30%에 불과하다"며, "기업의 적극적인 활용이 인재 정착과 산업 생태계 활성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밝혔다.
정부를 대표해 참석한 송상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실장은 "'국가 AI 혁신연구원' 설립을 긍정적으로 검토 중이며, 연구 자율성 보장을 위한 규제 완화 논의도 병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과기정통부는 전 세계와 경쟁할 최고 인재 유치를 위한 기본계획 수립 작업을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관련기사
- '김산업진흥공사' 설립 청사진 구체화..."국가 차원의 컨트롤타워"
- "양육비는 아이의 생존권"…이행제도 실효성 강화 한목소리
- 민주당,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 논의…행정수도 이전 한목소리
- 양육비 이행지원 제도, 실효성 강화 위한 논의 본격화
- "피지컬 AI 선도국 아직 없다, 대한민국이 주도권 잡아야"
- 천하람, '공짜 야근' 막는 포괄임금제 금지 법안 발의
- 정희용, '북극항로특별법' 대표발의..."해상물류 주도권 확보"
- 재난 속 해외출장 떠난 충청권 4개단체장...황명선 "책임방기"
- '공정한 망 이용 생태계 조성' 위한 국회 토론회 개최
- 억대 연봉자 10년 새 2.6배 급증… 지역·성별 격차는 여전
- "AI 시대 개인정보보호, 어떻게 할 것인가" 국회 토론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