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대1일 수작업 정밀 검증 결과 발표
"윤리 위반·중복 게재·제자 논문 재활용"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적격성 논란이 가라앉고 있지 않은 가운데, 교육계가 논문 표절 및 연구윤리 위반 의혹을 제기하며 거듭 자진 사퇴를 요구했다.
범학계 국민검증단(이하 검증단)은 20일 이 후보자 논문에 대한 2차 검증 결과를 발표하고 "이진숙 후보자의 논문은 복붙 수준의 복제물"이라고 비판했다.
검증단은 전국 교수·학술 단체 11곳이 참여한 연합체다. 검증단은 이번 분석에서 표절 탐지 프로그램이 아닌 1대1 원문 대조 방식의 수작업 검증 과정을 거쳤다.
검증단은 이 후보자의 다수 논문에서 사사(Acknowledgement) 누락, IRB(임상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인 절차 미준수 등 기본적인 연구윤리조차 지켜지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검증단은 "실험 설계, 데이터, 문단 구성, 결론 해석까지 유사한 논문이 다수 확인됐다"며 "같은 데이터를 활용하고 제목만 바꿔 중복 발표했으며, 문장만 일부 다듬은 수준"이라고 개탄했다.
이어 "이는 단순한 유사성이나 중복 게재를 넘어 학술적 진실성과 연구 윤리를 정면으로 훼손한 중대한 사안"이라고 했다.
아울러 "일부 논문은 제자의 박사학위 논문 내용을 반복 활용한 정황이 있다"며 "데칼코마니 논문"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 후보자의 논문은 학계 기준으로 명백한 연구 부정행위에 해당하며, 이는 장관 후보 자격 박탈 사유로도 충분하다"며 "교육 수장으로서의 자격이 없다"고 못박았다.
이 후보자를 둘러싼 논란은 앞서 열린 인사청문회 과정에서도 핵심 쟁점으로 떠올랐다.
야당은 후보자의 논문 중 상당수가 제자의 학위논문과 내용상 유사하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일부 논문에서 이 후보자가 제1저자로 이름을 올린 것도 문제가 됐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는 "연구 기여도에 따라 공동 저자 간 합의에 의해 결정된 것"이라며 "이는 이공계에서 통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연구 관행에 따른 것"이라고 해명했다.
표절 의혹에 대해서도 "카피킬러 등 표절 분석 프로그램은 기계적 유사성만 판단할 뿐이며, 유사한 형식이나 표현은 학문 분야의 특성상 반복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검증단은 이 같은 해명에 대해 "관행 운운하며 국민을 기만하고 있다"고 정면 반박했다.
검증단은 "구태의 연구 관행을 방패 삼아 공직의 정당성을 확보하려는 자는 학계와 국민을 동시에 우롱하는 것"이라며 "이 후보자가 임명되는 순간 교육부가 발표하는 어떤 정책도 정당성을 가질 수 없다"고 경고했다.
그러면서 "임명이 강행될 경우 국제 학술기구와의 연대를 포함해 모든 대응에 나설 것"이라며 "대통령실은 지명을 즉각 철회해야 하며, 이 후보자는 국민 앞에 사퇴로써 답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스트레이트뉴스 설인호 기자]
